경제·금융 금융정책

"정부가 빚 깎아준다"…도덕적 해이 부추기는 유튜브

[빚 탕감의 역설] <1>구휼 정책의 한계

채무탕감 취지 어긋난 정보 넘쳐

'성실 상환하면 손해' 인식 심어줘






“정부가 대출 30%를 줄여주는데 모르는 사람이 많아요.”

관련기사



정부의 지원 제도를 소개하면서 빚 탕감을 권하는 광고와 영상이 유튜브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다수 유통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어려움에 처한 이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측면보다 금융권의 빚은 갚지 않아도 된다는 식의 인식을 퍼뜨려 도덕적 해이가 확산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A법무법인은 유튜브 쇼츠를 통해 “재산보다 많은 대출을 보유한 사람은 채무탕감제도를 통해 대출금을 30% 줄일 수 있다”는 광고를 하고 있다. 대출 원금 8000만 원에 이자 6000만 원 같은 실제 사례를 인용한 듯한 영상을 보여주면서 정부가 개인 채무 조정을 실시하고 있고 평균 대출금을 30% 절감할 수 있다는 식이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반복적으로 대출을 탕감해주다 보니 이제는 아예 대놓고 대출을 갚지 말 것을 권하는 글과 영상이 넘쳐난다”며 “성실하게 빚을 상환하는 이들만 손해를 보게 되는 꼴”이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유튜브에서 ‘대출 탕감’을 검색하면 빚 탕감에 대한 뉴스와 함께 ‘2025년 정부에서 개인채무(빚) 전액 탕감해준다. 이렇게 신청하세요!’라거나 ‘빚, 이걸 모르고 계속 갚습니다. 지금 신청하고 탕감 받으세요!’ 같은 문구를 내세운 영상이 나온다. 금융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사정이 어려워 돈을 갚지 못하는 서민과 자영업자에 대한 채무 조정과 이자 감면 등은 충분히 할 수 있다”면서도 “대출 탕감이 일정 부분 필요하더라도 도적적 해이를 막기 위한 장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