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쇄신·반성 없이 당권 싸움에 매몰된 野, 미래 기대할 수 있겠나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국회에서 퇴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국회에서 퇴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퇴임 기자회견에서 “기득권이 당의 몰락을 가져왔으면서도 근본적 변화를 가로막고 있다면 국민의힘에 더 이상의 미래는 없다”고 말했다. 옛 친윤(친윤석열)계를 비롯한 구주류 세력 중심의 기득권 구조를 겨냥한 쓴소리로 읽힌다. 김 위원장은 대선 과정인 5월 15일 취임한 뒤 계엄·탄핵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 개혁안을 제시했으나 뚜렷한 결실 없이 47일 만에 퇴장했다. 이후 국민의힘은 송언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임하며 8월쯤에 열리는 전당대회 준비 수순에 들어간다.

관련기사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위헌적 계엄과 탄핵 사태에 대한 책임이 막중하다. 그런데도 분명한 반성과 쇄신도 없이 낯 뜨거운 당내 싸움만 벌이다가 정권을 잃었다. 대선 참패 뒤에도 뜻을 모아 당을 개혁하기는커녕 되레 친윤·친한(친한동훈)계 등으로 갈라져 당권 쟁취에 혈안이 돼 있다. 당의 무기력과 주요 당권 주자들의 탐욕에 실망한 나머지 전통적인 지지층들도 등을 돌리고 있다. 리얼미터가 5월 23~27일 전국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은 30.0%에 그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50.6%에 이르렀다. 양당 간 지지도 격차가 20.6%포인트로 벌어졌다.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소수 야당에 밝은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 국민의힘이 앞으로도 쇄신을 외면하고 기득권에 안주한다면 지지율 하락은 더 가속화하고, 야당으로서 최소한의 견제·감시 능력마저 소진되고 말 것이다. 그러잖아도 이재명 정부 내각의 44%가 여당 현역 의원으로 인선돼 국회의 행정부 견제 기능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107석의 소수 야당까지 지리멸렬한다면 견제와 균형의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야당이 제 역할을 못하면 결국 피해는 국민들에게 돌아가게 된다. 제1야당이 쇄신과 견제·통합 등의 기본 원칙을 토대로 당을 개혁하고 환골탈태해야 할 때다. 이를 위해 대선 패배 백서를 마련해 정확하게 문제를 진단하고 처방책을 제시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국민의힘이 전방위 개혁으로 거듭나고 실력을 갖춰야 거대 여당을 견제하면서 수권 정당으로 살아남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