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엘앤에프, 배터리 소재 기술 보호 총력…자체 보안 시스템 강화

엘앤에프 대구 3공장 전경. 사진제공=엘앤에프엘앤에프 대구 3공장 전경. 사진제공=엘앤에프




엘앤에프가 배터리 소재 분야의 기술 경쟁력과 대외 신뢰도를 강화하기 위해 정보보안 역량 및 전사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국가핵심기술인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서 업계를 선도하는 보안 체계 구축에 나선 것이다.



9일 엘앤에프에 따르면 이 회사는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직속 보안센터를 중심으로 반기 1회 이상 정보보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부서장과 경영진이 참여해 보안을 전사 핵심 의사결정 영역으로 다루고 있다.

관련기사



엘앤에프는 기존 솔루션 도입을 넘어 자체 기술력으로 혁신적인 보안 시스템과 대응 체계를 함께 구축하고 있다. 2024년 11월 독자 개발한 ‘LF-Keeper(문서보안등급 자가확인 서비스)’를 운영해 문서 보안 등급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영업비밀 보호 및 정보보호 인식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또한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DDoS 방어, 침해사고 대응, 웹 취약점 진단 등 실전형 모의훈련을 연례화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전 임직원 대상 스팸메일 훈련을 4차례 시행했다.

엘앤에프는 기술 유출 방지와 사전 리스크 차단을 위한 상시 보안성 검토 운영에서도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보안성 검토는 내부자료, 정보자산 사용, 권한관리 등 5대 항목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하며 지난해 933건을 처리 완료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480건을 진행하며 실무 중심의 관리 체계를 실현하고 있다.

보안 문화 확산을 위한 임직원 참여형 프로그램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엘앤에프는 매년 정보 보안 이벤트를 열고 매월 셋째 주 수요일을 ‘보안의 날’로 지정해 교육을 상시화하고 있다. 올해 정보보호의 날에는 임직원 80명이 참여한 ‘사내 보안골든벨’을 개최했다.

이영찬 엘앤에프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는 “양극재 분야의 일부 공정 및 기술이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되면서 업계 전반의 보안 수준 향상이 중요한 과제가 됐다”며 “엘앤에프는 정보보안을 단순한 비용이 아닌 미래 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자체 보안 솔루션과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산업 생태계의 표준화를 선도해 글로벌 고객사와의 신뢰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