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코카콜라, 지금 떨고 있니?"…역대급 수출 효자 된 '하얀 음료' 정체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 마련된 밀키스 부스에서 관람객이 이벤트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롯데칠성음료 제공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 마련된 밀키스 부스에서 관람객이 이벤트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롯데칠성음료 제공




해외 시장에서 ‘K음료’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커지면서,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음료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 고유의 맛을 살린 밀키스, 식혜 등 국내 대표 음료들이 수출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17일 관세청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음료 수출액은 총 4억981만 달러(약 5668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9418만 달러)보다 3.9% 증가했다. 2021년(3억2142만 달러)과 비교하면 27%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이 가운데 과채 음료를 제외한 일반 음료가 전체의 94%(3억8514만 달러)를 차지했다.

특히 중국이 전체의 28.3%(1억1609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미국(5117만 달러), 일본(3088만 달러), 베트남(2795만 달러), 캄보디아(2644만 달러), 러시아(1405만 달러) 등 순이다.

이번 수출 증가세를 이끈 대표 주자는 단연 롯데칠성음료의 탄산음료 ‘밀키스’다. 지난해 제로 칼로리 버전 출시와 함께 수출국을 확대하면서 연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했으며 지난해 수출액은 전년 대비 11% 이상 늘었다. 올해 상반기 수출액 역시 10% 성장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밀키스는 오리지널·제로를 포함해 8종이 판매 중이며, 50여 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미국·러시아·중국·대만 등에서는 연간 1000만캔 이상이 팔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관련기사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세가 뚜렷하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는 연평균 30%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최근에는 코스트코 등 현지 대형 유통망에도 입점해 추가 성장이 기대된다.

롯데칠성음료 밀키스. 연합뉴스롯데칠성음료 밀키스. 연합뉴스


마케팅 전략도 공격적이다. 롯데칠성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밀키스’ 옥외광고와 함께 ‘스파이시 밋츠 스무스(Spicy Meets Smooth)’ 캠페인을 전개했다. 롯데칠성 관계자는 “미국 소비자들이 밀키스를 ‘달콤하고 색다른 탄산음료’로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지 생산 체제 구축도 고려 중이다. 롯데칠성은 필리핀펩시를 거점으로, 밀키스와 칠성사이다의 현지 생산 여부를 검토 중이다.

한편 식혜, 아침햇살 등 전통 음료들도 ‘K음료’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팔도의 ‘비락식혜’는 동남아 시장에서 수출이 2022년 대비 30% 이상 늘었고, 웅진식품의 ‘아침햇살’도 같은 지역에서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한국 음료는 건강한 성분과 이색적인 맛, 독특한 패키지로 주목받고 있다”며 “K푸드 열풍과 함께 음료 수출도 장기적으로 꾸준히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코카콜라, 지금 떨고 있니?"…역대급 수출 효자 된 '하얀 음료' 정체는?


조수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