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尹, 재산 5억 증가…저축 늘고 김 여사 양평 땅값 올라

74억8112만원→79억9115만원

최 전 부총리, 美 국채 계속 보유

이준일 주이라크 대사, 현직자 1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마치고 나오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재산이 최근 1년 7개월여 사이 74억8112만 원에서 79억9115만원으로 5억1003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홍준표 전 대구시장,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등 지난 6·3 대선 출마와 정권 교체 등으로 공직에서 사퇴한 이들의 재산도 공개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 4월 2일에서 5월 1일 사이 승진·퇴직 등 신분 변동이 있었던 고위공무원 54명의 재산을 25일 관보에 게재했다. 이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의 예금은 지난해 3월 공개된 금액 대비 약 3140만원 늘어난 6억6369만원이며,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의 예금도 50억8756만원으로 9441만원 증가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에 대해 '급여소득'이라고 밝혔다.

김 여사가 보유한 경기도 양평 강상면 토지는 2억9569억 원에서 3억 90만 원,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아파트는 15억6900만원에서 19억4800만원으로 시세가 올랐다. 이 중 강상면 땅은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과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종점 노선을 기존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변경하는 안을 검토했다는 특혜 의혹이 제기돼 특별검사팀이 수사 중이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전체 재산은 74억8112만 원에서 79억9115만원으로 5억1003만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윤 전 대통령 모친의 경우 이전과 마찬가지로 '독립생계유지'를 이유로 재산 고지를 거부했다.

관련기사



고위공직자의 경우 재직 중일 때는 매년 말을 기준으로 정기 재산신고를 하며 승진·퇴직 등으로 신분 변동이 있을 경우에도 수시 재산신고가 이뤄진다. 윤 전 대통령의 경우 직전 신고 기간(올해 1월1일∼2월28일)에 구속 상태였다. 이에 따라 ‘구금 등으로 신고가 어려운 경우에는 재산신고를 유예한다’는 공직자윤리법에 의해 신고가 유예된 바 있다.

이번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에는 지난 6·3 대선 출마와 정권 교체 등으로 공직에서 사퇴한 이들도 포함됐다. 최상목 전 부총리의 재산은 44억6541만 원에서 45억1484만 원으로 4943만 원 늘었다. 보유한 토지와 건물 등의 실거래가 변동은 없었고 예금만 18억1071만 원에서 18억3384만 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논란이 됐던 미국 국채 1억9712만 원어치는 여전히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서는 경제부총리가 미 국채를 보유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수익률이 오르는 상품이라서다.

이밖에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 대구시장직을 사퇴한 홍준표 전 시장의 재산은 42억5922만 원에서 42억6371만 원으로 소폭 늘었다. 역시 대선 출마를 위해 고용노동부 장관직을 물러난 김문수 전 장관은 10억7062만 원에서 10억9043만 원으로 재산이 증가했다고 신고했다. 이번에 공개된 퇴직 고위공직자 중 재산 규모 상위자는 윤 전 대통령, 최상목 전 부총리, 홍준표 전 시장 순이다.

현직자 중 재산 1위는 지난 4월 주이라크 대사로 임명된 이준일 대사가 차지했다. 이 대사는 본인과 배우자 공동 명의의 서울 강남구 대치동 맨션 24억5300만 원, 예금 27억5451만 원, 강원도 콘도 회원권 4042만 원 등 총 52억7916만 원을 신고했다.

尹, 재산 5억 증가…저축 늘고 김 여사 양평 땅값 올라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