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페이로 받았는데 쓸 데가 없어요"…소비쿠폰 사용처에 소비자들 '혼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뉴스1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뉴스1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쿠폰이 8조원 넘게 지급됐지만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등 '페이 결제' 이용자들 사이에서 불편 호소가 잇따르고 있다.



3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신용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페이사 등으로 나뉘어 지급됐으며 신청 11일 만에 전체 지급 대상자의 90.0%인 4555만 명이 신청을 완료했다. 전체 지급 규모는 8조 2371억 원에 달한다. 신청 수단별로는 신용·체크카드가 3246만 1194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사랑상품권(719만 명), 선불카드(500만 명), 지류상품권(89만 명) 순이었다.

그러나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등 모바일 결제(페이) 방식을 선택한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사용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페이 결제는 일반 신용카드와 달리 QR코드나 바코드 인식 단말기가 있어야만 결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일부 식당 등 소규모 매장에는 관련 단말기가 없어 결제가 막히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혜택이 많다 길래 페이로 신청했는데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어떻게 써야 할지 모르겠다"는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연매출 30억원 이상 가맹점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데 이를 모르고 결제를 시도하다 거부당하는 사례도 잇따른다.

관련기사



각 페이사들은 소비쿠폰 이용 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지만 현장 결제 접근성이 떨어지면서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페이의 경우 포인트나 머니로 소비쿠폰을 신청하면 QR결제나 삼성페이 사용 시 '포인트 뽑기', '스탬프 적립' 등 기존 리워드를 받을 수 있으며, iOS 이용자는 네이버페이 머니카드로 결제할 경우 결제액의 0.3%를 포인트로 적립받을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실물 카드 없이 QR코드, 삼성페이, 제로페이 등으로 소비쿠폰 결제가 가능하고 오프라인 매장 사용 시 기본 포인트에 더해 소비쿠폰 전용 추가 혜택도 제공된다. 또 소비쿠폰을 카카오페이머니로 신청하고 이벤트에 응모하면 총 100명을 대상으로 최대 200만원 상당의 페이포인트도 지급하고 있다.

한편, 사용처 제한에 따른 혼란을 줄이기 위해 KTis는 114 번호안내 서비스를 통해 소비쿠폰 사용처 및 발급 방법 등을 안내하고 있다. 114 공식 홈페이지 '114On'에서도 지역별·업종별 검색을 통해 소비쿠폰 가맹점과 위치를 조회할 수 있다.

"페이로 받았는데 쓸 데가 없어요"…소비쿠폰 사용처에 소비자들 '혼란'


임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