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자연경관보존 등으로 개발 규제에 묶인 서촌 일대의 건물 높이 제한이 완화된다. 서울시의 ‘휴먼타운 2.0 사업’이 본격화하면서 저층 주거지 정비를 통한 신규 주택 공급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종로구 옥인동 47번지 일대에서 휴먼타운 2.0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정비계획 변경을 마무리했다고 4일 밝혔다. 올 4월 시범사업지 중 처음으로 종로구 신영동의 정비계획을 변경한 데 이어 옥인동 정비기반시설 및 높이·층수 등 정비계획까지 바꾸면서 휴먼타운 2.0 사업이 본격화한 셈이다.
휴먼타운 2.0은 재개발·재건축 등 전면개발이 어려운 저층 주거지 내 단독·다가구 주택의 신축·리모델링 등 개별 건축을 지원하는 정책이다. 전면 철거 후 아파트를 짓는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저층 주거지를 보존하면서 도로·공원 등 기반 시설을 강화해 ‘오세훈표 뉴타운’으로 불린다. 서울시는 2010년 도입한 기존 정책에 △용적률·건폐율 등 건축기준 완화 △전문가 컨설팅 및 금융지원 등을 추가해 2.0 사업을 추진 중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옥인동을 휴먼타운 2.0 후보지로 선정했다. 서촌 일대가 자연경관지구와 고도지구로 지정돼 집을 새로 짓거나 층수를 높이기 어려운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번에 정비계획이 변경되면서 건물 높이 제한이 기존 3층(12m)에서 4층(16m)으로 완화됐다.
서울시는 신축 건축주에게 최대 30억 원 대출을 지원하고 이자는 최대 3%까지 부담한다. 증축이나 리모델링을 희망하는 주민에게도 재산 현황에 맞춘 집수리 자금 융자를 제공해 부담을 덜어준다.
또 공공 부지를 활용해 마을 곳곳에 주차장과 보행 및 녹지 공간을 조성한다. 국토교통부 ‘뉴빌리지 사업’과도 협력해 국비(최대 150억 원)를 지원 받아 기반시설 조성도 진행한다. 좁은 골목길을 넓히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주민들의 생활 만족도가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옥인동 일대 휴먼타운 2.0 후보지 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특별건축구역·건축협정 집중구역·리모델링 활성화 구역으로 지정하고, 용적률·건폐율·조경면적 등 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다. 또 중랑구 망우동, 구로구 구로동 등 다른 휴먼타운 2.0 시범 사업지에도 건축 규제 완화를 추진해 비아파트 주택 공급 활성화에 속도를 낸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휴먼타운 2.0이 본격화되면 주민 중심의 주택 정비가 활성화될 수 있다”며 “이번 정비계획 변경이 옥인동 주민들의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