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여아를 선호하는 비율이 불과 30여년 전보다 세 배 가까이 뛰어오르며 세계 1위에 올랐다.
11일 갤럽 인터내셔널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전 세계 44개국 성인 4만 4783명을 대상으로 "아이를 단 한 명만 가질 수 있다면 어떤 성별을 원하느냐"를 물은 조사에서 한국인의 28%가 딸을 선택했다. 이는 일본·스페인·필리핀(26%), 방글라데시(24%)보다 높은 수치다. 반면 한국에서 아들을 원한다는 응답은 15%에 그쳤다. 아들보다 딸을 원한다는 격차가 10%포인트 이상 벌어진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만 아들(23%)을 딸(20%)보다 조금 더 선호했고 50대 이하에서는 모두 딸을 더 원했다. 특히 30·40대 여성의 경우 딸 선호도가 40%를 넘었다.
1992년 같은 조사에서는 58%가 아들, 10%가 딸을 원한다고 답해 지금과 완전히 다른 분위기였다. 당시 50대 이상은 무려 79%가 아들을 원했으며 20대조차 아들 선호도가 42%에 달했다. '결혼하면 아들이 있어야 한다'는 인식도 1995년 45%에서 2008년 24%로 내려앉았다.
출생성비도 크게 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990년 116.5명으로 아들 쏠림이 심했지만 2008년 이후 자연 성비 범위(103~107명) 안으로 진입했고 2023년에는 105.1명으로 안정됐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이달 6일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여러 지역에서 딸 선호가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이 대표 사례"라고 분석했다. 이유로는 성별 인식 변화, 미혼 남성 증가, 여성 혐오에 대한 반성, 일부 문화권의 '신붓값' 관습 약화 등을 꼽았다.
또 "남성의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고 전 세계 수감자의 93%가 남성인 점이 부모의 걱정을 부른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사회학자들은 "딸이 아들보다 돌봄에 적극적이고 부모 부양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2023년 한양대 임상간호대학원 김다미씨가 발표한 석사학위 논문에 따르면 치매 노인을 돌보는 가족 중 여성 비율은 82.4%로 남성(17.6%)보다 월등히 높았다. 특히 딸이 42.4%로 가장 많았고 며느리·아들·기타·배우자 순이었다.
한편 입양에서도 여아가 선호되는 현상은 뚜렷하다. 2010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입양 부모는 딸을 입양하기 위해 최대 1만 6000달러(약 2200만 원)를 추가로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