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세종시 관련 예산 1조 7279억 원이 반영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올해 정부예산 대비 1478억 원(9.4%) 증액된 수치로 정부 총지출 증가율(8.1%) 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로써 행정수도 완성, 한글문화도시 조성, 자족기능 확충, 시민안전 제고 등 시정 4기 역점사업 추진에 탄력이 기대된다.
우선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핵심사업 관련 예산이 충실히 반영됐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건립 사업비가 각각 956억 원, 240억 원 반영됐다.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위해 지금까지 반영된 국비예산 총액은 2153억 원이며 대통령 세종집무실 관련 국비예산은 총 298억 원에 이르게 됐다.
세종시는 국회세종의사당 건립을 위한 설계공모가 연내 착수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또한 행정수도 완성에 따른 교통량 급증에 대비하기 위한 제천횡단 지하차도 건설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 3억이 반영됐고 국립민속박물관 건립(154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 설명센터(23억원), 국립박물관 단지(492억원) 사업 예산도 충실히 반영됐다.
‘한글문화도시 조성’을 위해 필요한 정부 차원의 정책연구비 3억원도 반영됐고 부처별·기능별로 흩어져 있는 ‘한글’ 교육을 일원화하기 위한 시범 사업으로 ‘한글문화 교육센터’ 운영비 5억원이 신규 반영됐다. ‘한글문화도시 조성’ 계속사업비 40억을 확보해 앞으로도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여건도 마련했다.
아울러 ‘친환경종합타운 건립’ 사업의 설계비 3억원이 반영됐고 운전면허시험장 설계비 9억 원도 반영돼 내년부터 건립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공공하수도(오수관) 신설에 따른 방류 수질오염 저감 및 악취·위생 개선 등 시민보건위생 향상을 위한 하수관로 사업(3곳) 설계비 6억원도 신규 반영됐다.
미래 먹거리산업 육성을 위한 시정 현안사업 예산도 확보했다. ‘자율주행버스 레벨4 고도화’를 위해 15억원이 신규 반영됐고 AI 기반 민원자동처리, ICT 기반 축사악취 저감 등 ‘스마트빌리지 개발·보급’ 신규 사업비로 18억원,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지역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 사업비 20억원이 각각 반영됐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세종지방법원·검찰청과 같이 사전절차 이행이 필요한 사업은 관련 절차의 신속한 이행을 지원할 것이며 동시에 지역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꼭 필요한 새로운 사업 발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회 심의과정에 사업추진의 필요성, 국가지원 논리 등 사업계획을 다듬어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