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AI '소프트웨어' 주도주로 부상할 것"…미래에셋운용, ‘TIGER 미국AI소프트웨어TOP4Plus’ 출시

TIGER 미국AI소프트웨어TOP4Plus ETF 출시

팔란티어·오라클 국내 최대 비중으로 투자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AI 주도주 바뀔 것"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대표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TIGER 미국AI소프트웨어TOP4Plus’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김남호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ETF운용본부장은 이날 유튜브 라이브 웹 세미나에서 “지난해는 AI 하드웨어 기업들에 비해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실적 호조세가 두드러졌다”며 “1990년대 PC 보급 초기에 제조업체가 수혜를 본 뒤 점차 소프트웨어 기업이 주도권을 가져간 것과 같은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현재 빅테크 중심으로 AI 하드웨어 수요가 높지만 점차 매출 성장 둔화가 찾아오면서 소프트웨어 주식이 새로운 주도주로 부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같은 전망 속에 미래에셋운용은 9일 ‘TIGER 미국AI소프트웨어TOP4Plus’를 출시한다. 해당 상품은 팔란티어, 오라클, 앱플로빈, 피그마 등 미국 내 산업별 핵심 AI 소프트웨어 기업에 투자한다. 특히 팔란티어와 오라클 비중이 36.2%로 국내 ETF 상품 중 가장 높다. 김 본부장은 “양 사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동반 성장 기대가 크다”고 짚었다.

이 상품은 또 국내 패시브 ETF 가운데 처음으로 피그마를 편입했다. 피그마는 실시간 협업이 가능한 디자인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지난해 미국 상장 첫날 주가가 3배 이상 급등하는 등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미래에셋운용에 따르면 미국 AI 소프트웨어 시장은 향후 10년 간 연평균 약 20% 성장률이 예상된다. 실제로 올해 국내 순매수 결제액 20위 안에 팔란티어, 오라클, 피그마 등이 모두 이름을 올리며 수요가 입증됐다. 김 본부장은 “AI 사이클은 불과 3~4년밖에 되지 않았고 침투율도 낮아 앞으로 더 많은 산업 발전과 신규 산업 파생이 예상된다”며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AI 산업이 이동하는 흐름을 반영한 기업을 모은 상품”이라고 강조했다.


정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