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웅제약, AI기반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씽크’ 인천백병원애 공급

중환자·격리병실 등 실시간 모니터링 지원

응급상황 신속대응… 불필요한 접촉도 줄여

인천백병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서 한 간호사가 ‘씽크(thynC)’ 시스템으로 환자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웅제약인천백병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서 한 간호사가 ‘씽크(thynC)’ 시스템으로 환자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웅제약




대웅제약(069620)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thynC)’를 인천백병원에공급했다고 5일 밝혔다.



씽크는 중증환자, 와상환자, 격리병실 환자 등 모니터링이 필수적인 환자군을 대상으로 실시간 상태를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환자의 심전도·산소포화도·맥박·체온 등 생체 신호를 자동으로 기록·분석해 환자 맞춤형 진료와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장기적인 예후 관리에도 활용된다.

관련기사



회사 측은 인천백병원이 고령화로 날로 증가하는 만성질환자를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한 상황에서 안전성과 진료 효율을 나란히 높일 AI 솔루션을 검토한 결과 씽크를 낙점했다고 전했다. 인천백병원이 위치한 인천 동구는 2024년 기준 전체 인구의 27%가 65세 이상으로, 노인 인구 비율이 높다.

인천백병원은 1차로 중환자실과 중증환자 전담 병동 2곳 54개 병상에 씽크를 설치한다. 2차로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26개 병상에 추가 설치해 총 80병상에 들어가게 된다. 씽크가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가 환자의 미세한 변화를 조기 감지해 의료진이 대응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또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경우 격리병실로 운영되는 곳에서 씽크를 통해 원격으로 주요 생체 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인천백병원은 씽크를 포함해 다양한 AI 기반 솔루션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mobiCARE)’를 비롯해 심전도·컴퓨터단층촬영(CT)·안저검사 등 주요 진단 과정에 AI를 접목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앞으로도 다양한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국내 병원들의 진료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의료 혁신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