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백악관 "비자 문제 해결에 부처 공동 대응…트럼프, 미국인도 훈련받길 기대"

[캐럴라인 레빗 대변인 브리핑]

국토안보·상무부서 해결책 모색

전문·기술직 비자 완화하더라도

기술전수 의무화 등 요구 가능성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EPA연합뉴스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EPA연합뉴스





한국인 근로자 대규모 구금 사태와 관련해 파장이 커지자 백악관이 외국 기업 근로자의 비자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담당 부처들이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9일(현지 시간) 브리핑에서 ‘조지아 현대차(005380)·LG에너지솔루션(373220)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의 이민 단속 사태에 대한 재발 방지 차원에서 미국 행정부가 비자 관련 법규 개정 등을 추진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일 전 세계 외국 기업들과 그들이 미국에서 진행하는 투자에 대해 매우 감사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기업이 고도로 숙련되고 훈련된 근로자들을 함께 데려오기를 원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레빗 대변인은 “특히 그들이 반도체와 같은 매우 특수한 제품이나 배터리 같은 것을 만들 때는 더욱 그렇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기업들이 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기를 기대하고 외국 근로자들과 미국인 근로자들이 함께 일하며 서로 훈련하고 가르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미묘하면서도 책임 있는 입장을 취한 것”이라며 “국토안보부와 상무부가 이 문제에 함께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안보부는 이민 단속을 비롯해 미국 내 출입국과 이민정책을 총괄하는 곳이다. 상무부는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 담당 부처다. 각각 초강경 이민 제한 정책과 무역·관세·투자 협상을 담당하는 두 부처가 머리를 맞댄다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두 기조가 이번 사태로 제도적 모순점을 드러냈다는 점을 인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부처 간 조율에 따라 당장 시급한 전문·기술직 비자 발급을 확대하더라도 트럼프 행정부의 최우선 기조인 ‘미국우선주의’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현지에서의 미국인 채용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방침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비자 발급을 완화·확대하되 일정 규모의 미국인 채용을 조건으로 삼든지, 자국 내 부족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기술 교육·전수를 의무화하는 등의 대가를 얻어내려 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백악관 "정부, 비자 해결 공동 대응…트럼프, 미국인도 훈련시키길 바라"


뉴욕=윤경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