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형 글로컬 모델 본격 시동…“교육이 도시의 미래 바꾼다”

부산대·부산교대·동아대·동서대·경성대

지역 혁신 확산·글로벌 경쟁력 강화 비전

“교육·산업·도시 잇는 혁신 허브로 도약”

장제국(왼쪽부터) 동서대 총장과 이해우 동아대 총장, 최재원 부산대 총장, 박수자 부산교대 총장, 이종근 경성대 총장이 15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부산지역 글로컬대학 협력 업무협약(MOU)’을 맺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동서대장제국(왼쪽부터) 동서대 총장과 이해우 동아대 총장, 최재원 부산대 총장, 박수자 부산교대 총장, 이종근 경성대 총장이 15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부산지역 글로컬대학 협력 업무협약(MOU)’을 맺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동서대




부산의 5개 글로컬대학이 지역과 산업을 잇는 교육혁신 연합체로 뭉쳤다. 교육이 도시의 미래를 바꾸고 대학이 지역의 성장 엔진이 되는 ‘부산형 글로컬 모델’이 본격적으로 시동을 건 셈이다.



부산대학교와 부산교육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서대학교, 경성대학교는 15일 부산 롯데호텔에서 ‘부산지역 글로컬대학 협력 업무협약(MOU)’을 맺고 지역 인재 양성과 산업 연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 비전을 선포했다.

이번 협약은 교육부의 ‘Glocal University 30’ 사업에 선정된 부산권 대학들이 지역 혁신의 거점이자 세계적 수준의 특성화 대학으로 발전하겠다는 공동의 의지를 공식화한 자리다.



협약에 따라 이들 대학은 글로컬 혁신모델 성과의 지역 확산, 정주형 인재 양성 체계 구축, 부산 및 동남권 전략산업 기반 지·산·학 협력 활성화, 글로벌 프로젝트 공동 수행, 혁신성과 공유를 위한 발표회 개최 등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번 협약으로 부산은 전국 최초로 지역 글로컬대학 간 협력모델을 가동하게 됐다. 앞서 부산대와 부산교대는 2023년 통합 모델로, 동아대와 동서대는 2024년 연합 모델로, 경성대는 올해 단독 모델로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됐다.

먼저 최재원 부산대 총장은 “이번 협약은 단순한 대학 간 연대가 아니라, 지역의 교육·산업·사회가 긴밀히 맞물리는 초광역 발전 전략의 핵심 축이 될 것”이라며 “각 대학의 강점을 모아 시너지를 창출하고 지역사회에 신뢰받는 새로운 도약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박수자 부산교대 총장은 “부산대와의 통합모델을 통해 연제캠퍼스에 교원양성 기능을 집적화하고 새로운 미래 교원양성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며 “KREON(한국융복합연계교육연구소), BGEC(교육특화첨단실습동), TSR(Teaching Simulation Room), 독서융합 수업실연실, 에듀테크실증교실 등 첨단 실습시설을 기반으로 부산시교육청·시청·지역 기업과 협력해 ‘교육혁신 협력 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이해우 동아대 총장은 “세계와 경쟁할 인재를 키우고 청년이 머물고 기업이 성장하는 글로벌허브도시 부산을 만드는 데 글로컬대학들이 중심이 돼야 한다“며 ”동아·동서 글로컬연합대학도 지속가능한 수익형 통합산단 모델과 현장중심 필드(Field)캠퍼스 교육혁신을 통해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장제국 동서대 총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각 대학이 일궈낼 성과를 적극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시대와 지역이 요구하는 교육혁신을 완성해 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렇게 될 때 부산의 교육 경쟁력이 향상되고 젊은 인구의 유출을 막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동서대는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아직 세상에는 없는 혁신적이고 새로운 예술교육 모델을 선보임으로써, 이러한 노력에 적극 일조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종근 경성대 총장은 “경성대는 영화·미디어·공연·게임 등 K-컬처 4대 축을 기반으로 ‘배우고-만들고-보여주고-가치를 되돌려 받는’ 선순환형 교육모델을 구축했다”며 “교육과 산업, 청년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