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역 근로자들의 소득 수준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급여뿐 아니라 억대 연봉자 수도 전국에서 가장 적어 ‘물가 비싼 저임금 지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은석 국민의힘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근로소득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제주에서 연 1억 원 이상 급여를 받는 근로소득자는 853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적은 수치다.
전국적으로 연 1억 원을 넘는 고소득 근로자는 139만3062명으로, 경기(42만7000명·30.7%)와 서울(41만6000명·29.9%)에만 전체의 60.6%가 집중돼 있다. 제주에서는 전체 근로소득자 중 1억 원 초과 근로소득자 비율이 0.6%에 불과했다.
1억 원 이상을 받는 고소득 근로자는 전국적으로 2014년 52만6000여 명에서 2023년 139만3000여 명으로 10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었지만, 제주는 이런 흐름에서 철저히 소외됐다.
급여 수준 전반도 전국 최하위권이다.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제주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300만 원대 초반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꼴찌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월급이 400만 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100만 원가량의 격차가 난다. 울산과 서울 등 상위권 지역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더 벌어진다.
2023년 기준 전국 근로소득자의 평균 총급여는 4332만 원, 1억 원 이상 급여를 받는 고소득자는 전체 근로소득자(2085만2000명)의 6.7%를 차지한다. 상위 6.7%가 억대 연봉을 받는 구조지만, 제주는 이 같은 고소득 일자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문제는 높은 물가와 낮은 임금이 겹치는 구조적 불균형이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지역 특성상 물류비가 높고, 부동산 가격도 비싸 전국에서 생활비 부담이 가장 큰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임금 수준은 전국 최하위권이어서 실질 구매력은 더 떨어진다.
전문가들은 관광·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다. 제조업이나 IT 산업이 발달한 수도권과 달리 제주에는 고부가가치 산업 기반이 부족하다. 그 결과 청년층은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이주했던 주민들이 다시 본토로 돌아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제주도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월급이 높은 일자리 창출’을 주요 정책 과제로 내세워왔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상장기업 20곳 유치와 항공우주산업 육성을 공약으로 제시했지만, 상장기업 유치는 사실상 실패했고 항공우주산업 분야의 일자리 역시 지역민이 체감할 만한 수준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