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여권 파워 20년 만에 추락"…사상 첫 톱10 탈락, 한국은 2위

클립아트코리아클립아트코리아




미국이 20년 만에 ‘세계 여권 파워’ 순위에서 처음으로 톱10 밖으로 밀려났다. 반면 한국은 2위, 일본은 3위에 오르며 아시아 국가들이 여권 이동성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최근 CNN에 따르면 이달 14일(현지시간) 영국 컨설팅업체 헨리앤파트너스가 발표한 ‘2025 헨리 여권지수’에서 싱가포르 여권은 전 세계 193개국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어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190개국, 일본은 189개국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독일·이탈리아·스페인·스위스·룩셈부르크(188개국)가 공동 4위로 이었고 프랑스·네덜란드·덴마크·핀란드·오스트리아(187개국)가 공동 5위에 올랐다.



미국은 180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지만 말레이시아와 공동 12위로 밀려났다. 이는 헨리앤파트너스가 해당 지수를 발표한 이후 사상 처음으로 톱10 밖으로 내려앉은 것이다. 미국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국가는 총 36개국에 달한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미국 여권의 하락을 ‘이동성 약화’의 결과로 분석한다. 2024년 브라질이 상호주의 문제를 이유로 미국 시민의 무비자 입국을 중단했고 베트남도 최근 무비자 대상국에서 미국을 제외했다. 중국이 유럽 주요국을 대상으로 비자 면제 정책을 확대했지만, 미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헨리앤파트너스의 크리스티안 케일린 회장은 “이번 순위 변화는 단순한 숫자 변동이 아니라 글로벌 이동성과 소프트파워의 재편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개방과 협력을 중시하는 국가들이 앞서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지난 10년간 94위에서 64위로 30계단 상승했다. 러시아·걸프국가·남미와의 비자 협정 확대가 순위 상승을 이끌었다. 반면 영국은 2015년 이후 최저 순위인 8위로 내려갔다.

아랍에미리트(UAE)는 10년 새 42위에서 8위로 34계단 급등하며 중동 지역의 대표적 ‘여권 강국’으로 부상했다.
반면 아프가니스탄(106위·24개국), 시리아(105위·26개국), 이라크(104위·29개국)는 여전히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1위 싱가포르와 106위 아프가니스탄의 이동성 격차는 무려 169개국에 달했다.

CNN 진행자 리처드 퀘스트는 “미국 여권의 약화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의 폐쇄적 이민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며 “여행 접근성과 이용 가능성에서 시민권 간 차이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中 SMR 세계 첫 가동, 美 은행 연쇄 파산 [AI PRISM x D•LOG]

"배달 아저씨 무서워요, 헬멧 벗고 오세요" 일상에 번진 '헬멧 공포증', 무슨 일? [이슈, 풀어주리] [AI PRISM x D•LOG]

뜨겁게 달아올랐던 증권株…하루는 '쉬어가기' [마켓시그널]



임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