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질과 치실 사용을 게을리하는 습관이 췌장암 발병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진은 성인 12만 2000명의 침 샘플을 채취해 구강 미생물과 췌장암 발생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약 9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참가자 중 445명이 췌장암 진단을 받았으며, 이들의 구강 미생물 구성이 건강한 사람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JAMA 종양학'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잇몸 질환의 주요 원인균인 진지발리스를 비롯해 칸디다속 곰팅이 등 총 27종의 미생물이 췌장암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들 미생물은 실제 췌장 종양 조직에서도 검출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미생물 위험 점수'에 따르면, 구강 내 특정 세균과 곰팡이의 수치가 표준편차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췌장암 발병 위험이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책임자인 리처드 헤이즈 교수는 "구강 미생물이 췌장에 염증을 유발해 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며 "입속 미생물 분석을 통해 췌장암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구강 세균 증식을 막기 위해 체계적인 구강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양치 전 치실로 치아 사이 이물질을 제거하고, 칫솔을 잇몸과 치아 경계 부위에 45도 각도로 대고 2분 이상 꼼꼼히 닦아야 한다. 혀에 쌓인 세균막도 함께 제거해야 구취와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양치 후에는 불소 성분이 치아에 남도록 과도한 입 헹굼을 피하고, 칫솔은 3개월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18~2022년 기준 췌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16.5%로 주요 암 중 최하위 수준이다. 조기 발견 시 생존율이 크게 높아지지만, 뚜렷한 초기 증상이 없어 대부분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된다. 이번 연구는 일상적인 구강 관리가 췌장암 예방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