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석희 SK온 CEO "글로벌 ESS 시장서 영향력 확대할 것"

20일 연세대서 대학원생 등 대상 CEO 특강  

미래 성장 동력 ESS 사업 확장 의지 강조

이석희 SK온 최고경영자(CEO)가 20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IBK홀에서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SK온이석희 SK온 최고경영자(CEO)가 20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IBK홀에서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SK온




이석희 SK온 CEO(최고경영자)가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으로 전기차용 배터리 성장세가 주춤한 가운데 ESS를 새로운 성장동력을 삼겠다는 의미다.

이 CEO는 20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IBK홀에서 배터리 및 에너지 관련 학과 교수진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CEO 특강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고 21일 SK온이 전했다.



이 CEO는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늘면서 ESS 수요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ESS 사업은 전기차에 이은 중요한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CEO는 전기차 배터리 및 ESS 시장 전망과 SK온 기술 경쟁력, 미래 성장 전략 등을 주제로 중장기 ESS 사업 추진 방향을 소개했다. 특히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Z-폴딩(folding) 등 SK온이 갖춘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안전성 기술력을 부각하면서 ESS 사업 확장 의지를 드러냈다.

이 CEO는 BMS와 관련해 “SK온은 배터리 특성과 상태에 기반해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는 ‘안전진단 고도화 기술’을 개발했다”며 “이를 통해 사이버보안과 기능 안전성 수준을 동시에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SK온 BMS는 글로벌 시험∙인증 전문기관 TUV 라인란드로부터 국내 최초 국제 사이버 보안 인증(CSA)을 획득했다. 국내 업계 최초로 기능안전관리체계(FSMS∙Functional Safety Management System) 레벨3 인증도 받았다. 국내 업계 최초로 기능안전관리체계(FSMS) 레벨3 인증도 받았다.

SK온은 Z-폴딩 기술로 안전성을 강화한 하이니켈 배터리를 생산 중이다. Z-폴딩 기술은 분리막 사이에 양극과 음극을 지그재그 형태로 균일하게 쌓아 두 전극이 직접 맞닿을 가능성을 차단해 화재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인다. SK온은 현재 1세대 대비 생산성이 약 2.5배로 향상된 3세대 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이 CEO는 “배터리 사업에서 안전성과 신뢰는 최우선 가치”라며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롸 액침냉각 기술 등 고안전·고효율 솔루션, 화재 조기 진압 솔루션 등 역량을 바탕으로 북미 등 글로벌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했다.


유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