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헬스

흰머리 볼 때마다 스트레스 받았는데…“암 세포 방어 흔적?”

클립아트코리아클립아트코리아




흰머리가 단순한 노화 현상이 아니라, 몸이 암세포를 방어한 흔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도쿄대 의과학연구소 연구팀은 흰머리의 발생 원인과 암세포 방어 메커니즘의 연관성을 규명한 논문을 이달 국제 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머리카락의 색을 결정하는 것은 모낭 속 ‘멜라닌 줄기세포(McSC)’다. 이 세포는 주기적인 재생을 통해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내며 머리카락과 피부에 색을 부여하지만, 자외선·노화·스트레스·화학물질 등에 쉽게 손상된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생쥐 실험을 통해 자외선 노출과 유사한 화학 물질로 DNA 손상을 유도한 뒤 McSC의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일부 세포는 DNA 손상에 반응해 스스로를 ‘암 위험 세포’로 인식하고 자가 재생을 멈춘 채 소멸했다. 그 과정에서 머리카락은 멜라닌을 잃고 희어졌다.

반면 일부 손상된 세포는 자가 복제를 계속하며 세포 집단을 확장시켰다. 이들은 흰머리를 만들지 않았지만, 제거되지 않은 손상 세포가 흑색종으로 변이해 암 발생 위험을 급격히 높였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보호 메커니즘’으로 해석했다. “흰머리가 암을 직접적으로 예방한다는 뜻은 아니지만, 색소 생성 기능이 멈추는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암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흰머리는 단순히 늘어나는 게 아니라, 손상된 세포가 선택적으로 사라지는 과정”이라며 “세포가 정상적으로 노화하고 제거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근거가 확립되지 않은 시술이나 외용제는 오히려 세포 안정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난 탈출 더 어려워졌나…소득이동성 3년 연속 하락[Pick코노미]

79세 트럼프 "3선 도전 하고 싶다"…헌법 제한 우회하나

"아마존, 이번주부터 본사 3만명 감원"…'美고용 넘버2' 자동화 대체 시작


조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