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런베뮤)에서 일하던 20대 청년이 주 80시간에 가까운 노동에 시달리다 사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정의당은 27일 성명을 통해 “런베뮤에서 일하던 20대 청년이 주당 58~80시간에 달하는 과로에 시달리다 지난 7월 숨졌다는 사실이 보도됐다”며 “지난해 5월 입사 후 불과 14개월 만의 일”이라고 밝혔다.
정의당에 따르면 고인은 사망 전날 아침 9시에 출근해 자정 무렵 퇴근했고, 사망 닷새 전에는 무려 21시간을 근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은 “만성 과로와 급성 과로가 겹쳐 과로사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런베뮤 운영사인 외식 전문기업 엘비엠(LBM)에 대해서는 “과로사 의혹을 부정하며 자료 제공을 거부하고 있다”며 “스케줄표와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보면 고인은 직전 일주일간 약 80시간, 주 평균 58시간 일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또 “근로계약서가 주 14시간 이상 초과근로를 기준으로 작성돼 주 52시간 상한제를 위반했다”며 “입사 후 14개월 동안 4개 지점을 전전하며 근로계약을 세 번 갱신한 점을 고려할 때, 법인을 쪼개 근로계약을 체결한 ‘쪼개기 계약’ 의혹도 제기된다”고 주장했다.
유족은 산재를 신청했으나, 회사 측은 “근무 기록이 유족 주장과 다르다”며 자료 제공을 거부하고 있다고 한다. 정의당은 “엘비엠의 고위 임원이 유족에게 ‘부도덕해 보인다’는 폭언을 했다”며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고용노동부에도 “이 죽음을 외면해선 안 된다.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철저한 근로감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정의당은 “고인은 언젠가 자기 매장을 열겠다는 꿈으로 열정적으로 일해온 26세 청년이었다”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이미선 진보당 대변인도 “이 사건은 런베뮤의 노동 현실이 얼마나 잔혹하고 비인간적인지를 보여준다”며 “청년 노동자를 값싼 소모품으로 취급한 결과”라고 비판했다. 그는 “런베뮤는 ‘청년 핫플레이스’로 포장해 소비자 앞에서 상품을 팔았지만, 청년의 노동과 목숨을 브랜드의 원가로 삼은 행태는 명백한 기만이자 폭력”이라고 지적했다. 유족 측은 지난 22일 근로복지공단에 산업재해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런던베이글뮤지엄은 2021년 9월 서울 종로구 안국동에 문을 열며 ‘베이글 열풍’을 이끈 브랜드다. 현재 전국 7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지난 7월 사모펀드 JKL파트너스에 약 2000억원대에 매각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