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JP모건, 군수용 광산업체 투자…‘아메리카 퍼스트’ 프로젝트 시동

7500만 달러 투입해 퍼페투아 지분 3% 취득

JP모건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 AP연합뉴스JP모건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 AP연합뉴스




JP모건체이스가 군수용 핵심 금속을 생산하는 광산업체에 대한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국가 안보와 직결된 핵심 전략 산업에 1조 5000억 달러(약 2150조 원)를 투입하는 ‘아메리카 퍼스트 프로젝트’에 시동을 건 셈이다.



27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JP모건은 아이다호주에 기반을 둔 광산업체 퍼페투아 리소시스의 지분 약 3%를 7500만 달러(약 1080억 원)에 취득한다. 아울러 향후 3년 내 4200만 달러(약 603억 원) 규모의 주식을 추가 매입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워런트)도 확보한다.

관련기사



이번 거래는 JP모건의 ‘아메리카 퍼스트’ 프로젝트의 첫 투자 사례다. 앞서 JP모건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에 맞춰 향후 10년간 희토류, 로봇, 인공지능(AI) 등 경제안보의 핵심 산업에 총 1조 5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및 금융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더그 페트노 JP모건 공동 최고경영자(CEO)는 “국가 안보와 미국의 산업 회복력에 필수적인 분야를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JP모건이 퍼페투아를 첫 투자 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전략 광물의 중요성이 커진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퍼페투아는 1억 4800만 파운드 규모의 미국 최대 안티모니 광산을 건설 중이다. 안티모니는 납탄환의 경도를 높이는 등 군수용 금속으로 쓰일 뿐만 아니라 반도체, 배터리 생산에도 필수적인 핵심 광물로 분류된다.

이런 가운데 세계 최대 생산국 중국은 2024년 말 안티모니 수출을 사실상 전면 차단했고 서방 제조업체들은 대체 공급망 확보에 나섰다. 이처럼 공급망 위기가 심화하자 JP모건이 미국 내 자급 능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적 판단으로 투자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