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미약품, 표적항암 혁신신약 첫 선… 차세대 모달리티 대거 공개

‘AACR-NCI-EORTC 2025’ 참여해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등 비임상 5건 발표

한미약품이 국제 암 학술대회 ‘AACR-NCI-EORTC 2025’에서 차세대 모달리티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미약품한미약품이 국제 암 학술대회 ‘AACR-NCI-EORTC 2025’에서 차세대 모달리티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미약품




한미약품(128940)은 22~26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학회에서 신규 신약후보물질 ‘EP300 선택적 분해제’를 처음 공개하는 등 다양한 차세대 모달리티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회사 측은 국제 암 학술대회 ‘AACR-NCI-EORTC 2025’에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 STING 메신저 리보핵산(mRNA) 항암 신약, p53-mRNA 항암 신약, YAP/TAZ-TEAD 저해제 등에 관한 비임상 연구 결과 5건을 포스터 발표했다고 전했다. EP300 선택적 분해제는 한미의 신규 모달리티인 ‘표적 단백질 분해(TPD)’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항암 신약이다. EP300 단백질에 의존하는 암세포 혹은 CBP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원리로 작용한다.

관련기사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EP300 선택적 분해제가 EP300 의존성 세포주와 CBP 변이 세포주에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발표했다. 전립선암 이종이식 동물 모델에서 기존 1차 치료제와 EP300·CBP 이중 저해제 대비 우수한 종양 억제 효과를 입증했다고 회사는 전했다.

차세대 모달리티로 주목받는 mRNA 플랫폼 기반 면역항암 신약들의 연구 성과도 공개했다. STING mRNA 항암 신약은 STING(Stimulator of IFN Genes) 단백질을 직접 발현시켜 강력한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치료제다. 면역 반응의 시작점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해 종양에 맞서는 ‘리부트’ 전략을 채택했다. 면역항암제는 주로 면역관문 억제제를 통해 T세포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식에 집중해 왔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대장암 및 폐암 동물 모델에서 STING mRNA 단독 투여만으로 유의미한 종양 성장 억제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 신약후보물질은 다양한 항암제와 병용요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최인영 R&D센터장은 “한미의 신약개발에서 핵심 근간을 이루는 항암 파이프라인은 TPD, mRNA, 세포유전자치료제(CGT), 항체약물접합체(ADC), 단일도메인항체(sdAb) 등 다양한 모달리티 분야로 혁신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며 “차세대 모달리티의 잠재력을 극대화해 글로벌 혁신신약 엔진에 강력한 추진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