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한국철도시설공단, 저가 낙찰 방지한다

과잉설계나 시공ㆍ감리 잘못으로 인한 안전사고시 감점 확대

앞으로 저가낙찰로 인한 각종 사고발생과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사업비 증액이 원천 봉쇄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김광재)은 예산낭비와 건설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자체조사를 해본 결과 예정가의 70% 미만으로 저가 낙찰한 업체의 경우, 낙찰률 70% 이상의 경우보다 설계변경금액이 평균 3.6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나 묻지마 저가투찰에 따른 문제예방을 위해 입찰시 감점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철도시설공단은 철도건설의 안전과 품질을 확보하고 잦은 설계변경에 따른 사업비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과잉설계나 시공ㆍ감리 잘못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PQ) 및 적격심사시 감점을 확대하고 보증료산정시 입찰참가제한, 부실벌점, 품질안전사고 등을 반영하는 방안을 강구중에 있다. 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워크아웃 및 법정관리중인 9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29개 현장과 낙찰율 70%미만 27개 저가현장에 대해 감리강화 및 특별점검관리에도 불구하고 최근 고속철도 공사현장에서 터널붕락사고로 2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며 “철도건설사업의 품질 보장과 각종 안전사고방지를 위해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