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협력사들이 '납품단가 정보공유시스템'을 만들어 납품단가의 변동 및 조정 여부 등을 상호 공유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1일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은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삼성전자ㆍ현대차ㆍSKㆍLG전자ㆍ롯데쇼핑ㆍ포스코ㆍGSㆍ현대중공업ㆍ금호건설ㆍ대한항공ㆍKTㆍ두산인프라코어ㆍ한화ㆍSTX조선해양ㆍLS전선 등 15대 대기업 최고경영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김 위원장은 "중소기업에 물어보면 여전히 대기업의 납품단가 인하 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다"며 "앞으로 효과적인 납품단가 조정체계 구축, 자의적인 납품대금 감액 및 구두발주 금지, 2차 협력사 이하로 하도급법 적용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공정위는 납품단가 조정을 위해 1~3차 협력사까지 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했다. 시스템을 통해 대기업과 1차 협력사 간 납품단가 조정내역을 2ㆍ3차 협력사들도 함께 알 수 있어 대기업의 단가 인상이 3차 협력사 이하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게 공정위의 설명이다.
참석자들은 "대기업이 1-2차, 2-3차 협력사 간 동반성장에도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기업 내 임직원이 공정거래를 제대로 준수했는지 여부를 인사고과에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윤여철 현대차 부회장은 "현대차는 이미 핵심 원자재인 철판을 협력사에 구입가격으로 제공하는 '철판사급제'를 시행하고 있다"며 "철판은 자동차 원가의 44%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 있는 원자재로 1차 협력사는 물론 2ㆍ3차 협력사에까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공정위는 오는 4월부터 건설ㆍ유통 등 업종별 동반성장 협의회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예정이라고 이날 밝혔다. 공정위는 "전기ㆍ전자, 자동차ㆍ기계, 화학ㆍ금속, 건설, 유통 등 유사업종별 5~6개 동반성장 협의회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3월까지 구성을 완료한 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