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몽원 한라건설 회장, 최불암씨, 류관희 서울대 명예교수, 김관용 경북도지사(왼쪽부터) |
|
농촌진흥청은 15일 농업전문가가 아닌 각계의 명사 120명으로부터 우리나라 농촌과 농업에 대한 생각들을 담은 ‘명사, 농업·농촌을 말하다, 여기 길이 있었네’ 라는 책자를 발간했다.
이 책자에는 농업에 대한 과거, 현재, 미래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담겨있고, 때로는 안타까움과 따끔한 충고, 촉촉한 추억 등이 소개되어 있다.
정몽원 한라건설 회장은 “많은 기업이 농업의 아날로그적 감성을 배울 수 있기를 바란다. 자연과 교감하면서 생명체를 키우는 일보다 더 섬세한 감성은 없다”고 지적했다.
탤런트 최불암씨는 “일본의 사케가 유명한 것은 맛뿐 아니라 역사와 그에 얽힌 스토리가 있기 때문”이라며 “막걸리도 그렇게 될 만한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막걸리의 세계화를 제안했다.
류관희 서울대 명예교수는 “농업은 단순히 농산물 생산에 그치지 않고 차세대 에너지 생산, 의약품 원료 생산, 식량부족이나 기후변화와 같은 도전과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농업은 포기할 수 없는 안보산업”이라며 “노벨상 수상자 쿠즈네츠가 말했듯이 농업과 농촌의 발전 없이 선진국이 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성장통’의 저자 공병호씨는 “지금 우리의 농업경영인들에게 필요한 것은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더 정확하게 파악해서 남들이 볼 수 없는 기회를 만들어내는 일” 이라고 충고했다.
김재수 농진청장은 “이 책이 출간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신 명사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건네주신 귀한 말씀은 새로운 농업과 농촌을 가꾸는 기초로 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