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와 노원구가 각각 영어교육특구와 국제화교육특구로 선정됐다. 정부는 28일 과천청사에서 제13회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를 열어 서울 중구와 노원구 등 10개 지역특구를 새로 지정했다. 전북 완주군은 포도주산업특구 지정이 해제됐다.
신규지정과 첫 해제 지역이 나오면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특화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 지역을 지정, 선택적으로 규제 특례를 적용하는 지역특구는 모두 96개로 늘어났다.
신규 지역특구는 충남 아산시가 서울 노원구와 더불어 국제화교육특구로 선정된 것 이외에 ▦경북 영덕군 청정에너지특구 ▦충남 태안군 종합에너지특구 ▦경남 거창군 화강석산업특구 ▦경북 청도군 반시나라특구 ▦충남 예산군 황토사과특구 ▦전남 보성군 녹차산업특구 ▦충남 서천군 한산모시산업특구 등이다.
향후 영어교육특구로 지정된 서울 중구는 선진영어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학교 원어민 교사 배치, 영어체험학습장 운영 등의 특화사업이 추진된다. 서울 노원구는 학교 원어민 교사 배치 등 외국어교육 심층 특화사업, 교양대학 및 문화강좌 등 평생교육사업, 학교 공원화사업 등이 추진되며 충남 아산은 기업도시 건설로 인한 신규 교육 수요에 대비해 외국인학교 및 충남 외국어고등학교 등이 설립된다. 또 중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중국 원어민 강사로 구성된 ‘공자학원’ 설립도 본격화된다.
경북 영덕은 기존 풍력발전단지 외에 태양광 발전소 건설이 추진되고 충남 태안 역시 풍력ㆍ태양광 등 신ㆍ재생에너지 산업을 유치해 화훼농업 및 관광산업과 연계할 계획이다. 충남 예산과 전남 보성은 각각 사과와 녹차의 주요 생산지라는 지역 특성을 농가소득 증대, 관광산업 활성화와 연계시키기로 했다.
한편 위원회는 전북 완주 포도주산업특구 지정을 해제했다. 지역특구가 해제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완주군은 2년간 특구 지정이 금지되며 특구 지정으로 인정됐던 각종 규제 특례와 허가ㆍ인가ㆍ승인 등도 취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