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수도관이 제때 교체되지 않고 부실공사가 많아 연간 3천8백여억원어치의 수돗물이 새나가고 있다.
18일 환경부가 자민련 金範明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전국 상수도관의 누수율은 평균 14.8%에 달했다.
이같은 누수율에 따른 수돗물 누수량은 8억9천t으로 t당 434원의 원가만 계산해도 3천8백62억원에 달한다.
시도별로는 전남의 누수율이 20.7%로 가장 높고 경남 20%, 강원 19.1%, 전북 17.3%, 부산 16.8%, 인천 16.2%, 경북 16%이며 서울도 14.1%나 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노후관 교체를 통해 매년 평균 0.8%정도씩 상수도 누수율을 줄여가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선진국 수준인 10%에 크게 미달되고 3개 시.도의 경우는 중진국 수준인 17%선에도 못미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과도한 수돗물 누수로 인해 물예산이 낭비되는 것을 물론 노후관속 이물질로 인한 국민들의 불신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전국 상수도 송배급수관 11만km 가운데 20%선인 2만1천여km의 노후관을 교체해 누수율을 10% 이하로 줄이기 위해서는 2조3천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각 시.도에서 예산을 누수율 개선보다 우선 눈에 띄는 도로개설 등에 배정하는 등 전시행정에 치우쳐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수도 노후관 개량사업비는 50%가 국고에서 융자되고 50%는 지방비로 충당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