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평면 디스플레이의 일종인 FED(전계방출디스플레이), 나노크기의 반도체 소자, 바이오센서, 연료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이중벽 탄소나노튜브를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양대 나노튜브연구실 이철진 교수팀은 촉매를 활용한 화학기상성장법을 이용, 불순물이 거의 없는 고품질의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대량합성 방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그동안 사용된 전기방전법과 레이저사용법 등은 수율이 떨어지고 불순물이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이 교수는 “합성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대량합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품질과 수율이 아주 높아 FED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삼성SDI는 물론 일본, 미국 등 대형 디스플레이업체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이 교수팀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저렴한 가격에 대량합성하는 방법도 개발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g당 100만~150만원인 가격이 1만~2만원선으로 낮아질 수 있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조충제기자 cjcho@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