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주택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게 늘어나면서 ‘가처분소득 감소→소비위축→경기위축’ 등의 악순환이 이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서브프라임 사태 등으로 경기악화 추세가 이어질 경우 가계발(發) 경기침체가 빚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소비위축 불가피=주택 대출자들은 대부분 3년 동안은 이자만 내고 4년째부터 이자에다 원금까지 함께 상환해나간다.
가뜩이나 대출이자 급등으로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마당에 내년부터 원금상환까지 겹치면 가처분소득은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소비가 크게 위축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진단이다.
신용상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원리금 상환부담은 가계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것이 자명하다”며 “가계 소비 위축이 부동산을 포함한 경기 하락 반전과 맞물릴 경우 심각한 후유증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내년부터 원금상환시점이 속속 돌아오는 대출은 규모도 클 뿐 아니라 대출의 ‘질(質)’도 좋지 않다는 것이다.
지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간 집행된 주택대출 총액은 무려 48조원에 달했다.
특히 2006년 말까지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높았을 뿐 아니라 소득에 대한 원리금상환비율(DTI)도 무시한 채 대출이 이뤄졌기 때문에 소득이 낮은 사람들의 경우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20년 만기로 2005년 1월 2억원의 대출을 받은 사람은 그동안 133만여원(이자율 8% 가정)의 이자만 내왔으나 내년 1월부터는 이자에다 108만원(원금균등분할 상환방식)의 원금도 함께 부담해야 한다.
◆ 금리ㆍ경기 향방이 변수=전문가들은 현재와 같은 금리 급등 추세에다 경기까지 꺾이면서 가계의 실질소득이 줄어들 경우 가계발(發) 경제 침체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한다.
김윤기 대신증권 경제조사실장은 “문제는 앞으로의 금리 향방과 확장국면을 보이고 있는 경기가 얼마나 더 지속될 것이냐 하는 것”이라며 “금리가 계속 상승하고 경기위축으로 실질소득이 줄어든다면 금융비용 부담 확대는 경기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최근의 금리 급등세가 은행권의 자금부족에 따른 일시적 현상에 그친다면 가계 금융비용이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