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MB정부 '은행은 낙하산 왕국'

주요 대기업의 사찰 파문을 계기로 현 정부의 파행 인사가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이명박 정부 들어 4년 3개월 동안 금융지주나 시중은행에 사외이사로 선임된 207명 중 MB 측근 또는 범 MB계나 정부 인사에서 내려간 사외이사가 73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중은행 전체 사외이사의 3분의 1이상은 ‘낙하산 인사’로 채워졌다는 의미인데, 은행의 감시 체제에 심각한 구멍이 뚫려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관련기사 3면

서울경제신문이 14일 국내 5대 금융지주(KB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농협)와 7개 시중 은행(KB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농협ㆍ외환ㆍ기업), 외국계 2개(SCㆍ씨티), 지방 4개(부산ㆍ광주ㆍ경남ㆍ대구) 등 18곳을 조사한 결과, 2008년2월부터 지난 4월말까지 신규 사외이사 선임은 207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청와대 비서실 출신은 우리은행 사외이사를 맡고 있는 이귀남 전 대통령 비서실 민정수석실 사정비서관 등 모두 7명으로 나타났다. 총리실이나 산하 위원회 출신 중에는 김종화 전 행정개혁위원회 무역 및 산업정책 담당관이 부산은행의 사외이사를 역임한 바 있다.


과거 한나라당이나 현 새누리당에 당적을 갖고 있는 사람도 6명이나 됐다.

관련기사



관계 출신은 41명으로 MB 인맥들이 광범위하게 시중 은행에 퍼져 있다.

이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 선거캠프에서 활동했거나 대통령 인수위 시절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던 법조계와 학계 인사 등 범 MB계 인맥 15명도 은행 사외이사를 꿰찼다.

역대 정부 중 가장 화려한 낙하산 인사를 자랑하는 현 정부의 ‘인맥 정치’가 시중 은행권에서도 예외는 아니라는 의미다.

특히 시중은행 사외이사는 물론 경영층 상당수에 이 대통령의 측근 인사 주변 인물이나 선거 과정에서 수혜를 입은 사람들이 ‘보은 인사’ 형태로 대거 배치돼, 역대 어느 정부보다 시중은행의 정치색이 짙어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금융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역대 정부 중 이명박 정권에서 낙하산 인사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며 “시중 은행에서도 사외이사제도를 감시와 견제라는 본연의 취지와는 달리 현 정권에 대한 로비창구로 악용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유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