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수질 갈수록 악화올들어 기온상승에 따른 수온변화로 한강과 낙동강 등 4대강수질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환경부가 25일 발표한 「2000년 4월중 4대강 수질오염도」에 따르면 한강수계인 팔당호의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1.6PPM(㎎/ℓ)으로 지난 1월과 2월의 1.1PPM, 3월의 1.2PPM에 비해 계속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팔당호 하류인 서울 가양과 노량진은 팔당댐 방류량 감소의 영향으로 BOD가 각각 4.7PPM, 4.0PPM을 기록해 전월의 3.1PPM, 2.9PPM에 비해 수질이 크게 나빠졌다.
낙동강 수계도 상류인 안동은 1.1PPM으로, 지난 1~3월의 1.0~1.1PPM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중류지역은 갈수기에 따른 오염원 증가 및 식물성 플랑크톤 증식으로 수질이 크게 악화됐다.
금강 수계 역시 중·하류지점인 부여가 4.3PPM으로 전월의 2.1PPM에 비해 배 가까이 높아진 것을 비롯해 공주(2.1→4.0PPM), 청원(2.1→2.7PPM) 등 전반적으로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영산강 수계도 나주가 10.3PPM으로 전월의 7.6PPM에 비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영산강 하류의 영산호에서는 기온상승에 따라 식물성 플랑크톤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가을철 녹조현상을 유발하는 클로로필-A 농도가 우치(53.2→136.6㎎/㎥)와 광주(114.6→240.5㎎/㎥), 나주(52.8→109.7㎎/㎥)를 중심으로 배이상 증가했다.
오철수기자CSOH@SED.CO.KR
입력시간 2000/05/25 17:52
◀ 이전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