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IS, 이라크·시리아 양쪽 국경서 공격해야 소탕"

美, 전선 확대 가능성 시사… 佛 "국제 공동 결사조직 필요"

미국 정부가 이슬람 급진 수니파 반군세력인 '이슬람국가(IS)'를 소탕하기 위해 현재 이라크로 제한된 전선을 시리아까지 넓힐 수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인 기자 참수를 계기로 IS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고조되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공조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척 헤이글 미 국방장관은 21일(현지시간) 펜타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IS는 과거의 테러그룹에 비해 사상과 전략 및 전술, 군사적 위용을 잘 결합하고 있다"며 "우리가 지금까지 봐온 것 이상의 테러단체로 (이들이 저지를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자리에 함께한 마틴 뎀프시 합참의장은 "IS는 파괴적이고 종말적인 비전을 가진 만큼 반드시 뿌리 뽑아야 하는 조직"이라며 "시리아에서 이들을 공격하지 않고도 소탕할 수 있느냐에 대한 대답은 '아니다'다. (이라크와 시리아) 국경 양쪽에서 함께 공격해야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이라크 공습에 국한된 미군의 공격범위를 "시리아 내 IS 조직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고 CNN방송은 보도했다. 지난 2011년 시리아 내전 이후 세를 급격히 늘려온 IS는 지금도 시리아를 본산으로 삼고 있다.

관련기사



다만 뎀프시 의장은 시리아로 전선을 확대하는 문제에 대해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장기적으로 IS와 전쟁을 할 동맹군이 결성된 후에 실행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국제사회에서는 미국인 참수 동영상 공개 이후 IS의 위험성이 새삼 부각되며 이 조직을 제거하기 위한 공조 움직임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독일·이탈리아 등이 이라크 내 쿠르드자치정부(KRG)에 대한 제한적 무기공급에 들어갔고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IS에 대응할 국제 결사체 조직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섰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미국이 의장국을 맡는 다음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시리아 및 이라크로 유입되는 외국계 무장대원을 막기 위한 방안을 주요 안건으로 상정할 방침이다. 미 국무부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해 50여 국가 출신으로 구성된 외국인 무장대원 1만2,000명가량이 시리아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추산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