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동남아 위기 가능성 낮다"

상의, 설명회서 제기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난이 외환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8일 개최한 ‘아시아 주요 국 투자환경 재점검 설명회’에서 박번순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전문위원은 “세계 경제의 스테그플레이션 조짐으로 베트남 등 동남아 전체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됐지만 외환위기 이후 동남아 국가들의 성장률ㆍ경상수지 등 경제 기초체질이 강화됐기 때문에 외환위기의 재발 가능성은 낮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행사에 참석한 권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베트남의 장기 성장 전망에 긍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최근 베트남 경제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지만 베트남은 포스트 BRICS(브라질ㆍ러시아ㆍ인도ㆍ중국) 국가 중의 하나로 천연자원과 노동력이 풍부하고 높은 성장에 따라 소비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위기 가능성을 일축했다. 중국 시장에 대해서는 경계감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됐다. 썬쟈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그동안 견실한 성장세를 보여왔던 중국 경제가 지역 간 소득불균형 심화, 물가불안, 자산시장 침체, 수출둔화 조짐 등으로 올해 성장률이 지난해보다 다소 낮은 10% 초반에 머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그러면서 “최근 중국이 ‘생산자 중국’에서 ‘소비자 중국’으로 성장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외자정책이 ‘외자유치형’에서 ‘공정경쟁형’으로 바뀌고 있다”며 “조세혜택 감소, 가공무역 규제, 수출세 환급 감소, 임금 급등, 노동시장 유연성 저하,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투자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이 저임금 노동력 활용 등의 투자목적을 전면 재검토하는 한편 수익성 악화에 대비해 비용절감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