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새 암치료법 개발 길 열어

노벨 의학상 3인의 업적올 노벨의학상 수상자들은 효모와 식물, 동물, 인간 등 모든 진핵생물(eukaryotic organisms) 안에서 일어나는 세포분열 과정 즉, 세포주기를 제어하는 중요 분자들을 밝혀낸 공로를 인정 받았다. 특히 생물체를 이루는 모든 세포는 세포분열을 통해 탄생한 뒤 성장과 노화 과정을 거쳐 죽음에 이르게 되는데 이번 수상자들은 이 중에서 세포가 분열해 탄생하는 세포주기(G1-S-G2-M)를 규명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세포주기의 제어에 이상이 발생하면 세포가 분열을 멈추지 않고 무한정 분열하는 암 세포 같은 염색체 변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발견은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하트웰은 1960년대 말부터 제빵용 효모를 이용한 실험에서 세포분열에 100여 가지의 세포분열주기(CDC)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특히 CDC28이라는 유전자가 세포분열의 첫 단계인 DNA 합성전기(G1기)를 제어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너스(사진)는 하트웰의 연구를 이어받아 다른 종류의 효모와 유전연구 기법을 사용해 'cdc2'라는 유전자가 하트웰이 밝혀낸 G1기 다음인 DNA 합성후기(G2)부터 유사분열단계(M)까지를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헌트는 1980년대 초 처음으로 세포 분열 주기에 만들어졌다가 분해돼 없어지는 단백질인 사이클린 분자를 발견했으며 사이클린이 CDK 분자와 결합해 CDK의 활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헌트 박사가 수상 소식에 매우 기뻐했다고 전했으며 임페리얼 암 연구기금의 다운 보이올 대변인도 "노벨의학상 수상 소식에 연구소가 흥분돼있다"며 "헌트와 너스 모두 매우 기뻐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 노벨의학상은 1901년 노벨상이 처음 시상 된 후 91번째 시상 되는 것이며 지금까지 노벨의학상 수상자는 미국이 80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으며 영국과 독일이 각각 25명과 15명으로 뒤를 이었다. 시상식은 노벨 사망 기념일인 오는 12월 10일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