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제2형 당뇨 치료할 새 단백질 발견

고려대 고영규 교수 연구팀

국내 연구진이 인슐린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제2형 당뇨 치료제를 개발할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고영규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인슐린 신호전달과정의 핵심 단백질인 IRS-1를 분해시키는 새로운 단백질 ‘MG53’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식사 후 혈당량이 증가하면 인슐린이 분비된다. 이 인슐린은 포도당을 골격근 등으로 유입해 혈당량을 정상 수준으로 되돌린다. 이러한 인슐린의 신호전달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세포가 포도당을 효율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현상인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해 제2형 당뇨가 야기된다.

관련기사



고 교수 연구팀은 MG53 유전자가 제거된 생쥐의 골격근에서는 IRS-1 단백질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아 IRS-1 단백질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이 많으면 인슐린 신호 전달이 증폭된다. MG53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면 인슐린 저항성을 치료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다. ‘

이 연구결과는 네이쳐 커뮤니케인션스(Nature Communications)지에 발표됐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고 교수 연구팀이 MG53과 IRS-1의 상호작용을 깨트리는 신약 후보물질을 최근 발견했다”며 “이 후보물질을 제2형 당뇨 치료제로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