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내수에 무게 둔 중국 "올 7.5% 성장"

12기 전인대 개막

중국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를 전년과 같은 7.5%로 책정했다. 시진핑ㆍ리커창으로 대표되는 중국 5세대 정부가 '바오바(保八ㆍ최소 8%대 성장률 유지)'라는 상징적인 목표에 매달리지 않고 앞으로 집권 10년 동안 안정적인 경제운용에 방점을 찍겠다는 뜻을 재천명한 셈이다.

원자바오 총리는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한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마지막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중국의 지난해 성장률은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파로 7.8%를 기록하며 1999년 이후 처음으로 성장률이 8% 밑으로 떨어졌다. 올해 경기회복이 예상되는데도 성장률 목표를 8% 이하로 잡은 것은 더 이상 수출ㆍ투자 위주의 고속성장을 추구하지 않고 내수 위주로 경제 모델을 전환하겠다는 뜻이다.

올해 소비자물가(CPI) 상승률 목표는 3.5% 이내로 전년 목표인 4%보다 다소 낮아졌다. 지난해 인플레이션 갭을 1%로 두며 실제 CPI 상승률이 2.6%를 기록한 점을 고려한다면 올해도 중국 정부는 실제 CPI 목표를 2% 초반으로 잡은 셈이다.


중국 정부는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감세정책을 지속해 내수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올해 재정적자는 전년보다 4,000억위안 늘어난 1조2,000억위안으로 GDP의 2% 규모에 달한다. 통화량(M2) 증가목표도 통화팽창의 우려가 있지만 전년보다 1%포인트 낮은 13%로 잡아 확장적 재정정책을 유지함으로써 경기를 부양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서방국의 관심을 끌었던 국방예산은 전년보다 10.7% 늘어나며 1989년 이후 2010년(7.5%)을 제외하면 24년째 두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갔다.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