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친일파 대부분 서훈 유지되는데…5·18-부마항쟁 민주화 유공자는 '0'

친일파와 내란 가담자의 국가 훈포장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지만 민주화 유공자에 대한 서훈 수여는 인색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관련기사



26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강동갑)에 따르면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파 4,386명 중 222명이 해방 이후 대한민국으로부터 440건의 훈포장을 받았다. 이들 222명 중 66명은 대통령 직속 ‘친일반민족진상규명위’가 친일행위자로 발표한 사람들로서 현재까지 그중 7명만의 서훈이 취소되고 나머지 59명의 서훈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진 의원은 서훈 수여자 명단에 백운택 전 71방위사단장 등 12·12 내란에 가담한 자들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5·18특별법 등에 의해 내란에 가담한 자들과 무고한 광주시민들을 학살한 자들에 대한 서훈이 일부 취소됐지만 당시 별도의 사법적 판단을 따로 받지 않은 하나회 출신의 일부 군 장성들에 대한 서훈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진 의원은 정부가 민주화 유공자들에 대한 서훈은 매우 인색하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국가가 민주화운동으로 공식 지정한 10개 운동 중 이승만 정권에 항거한 민주화 유공자들에게만 서훈이 수여됐을 뿐 부마항쟁과 5·18 민주화운동 등 박정희와 전두환 정권에 저항한 민주화 유공자들에게 수여된 서훈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