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단녀 재취업하기까지 평균 8년

‘경력단절여성(경단녀)’이 재취업하기까지 평균 8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이 직장을 그만두는 이유로는 임신과 출산, 육아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반면 맞벌이가 보편화하면서 결혼을 계기로 직장을 그만두는 여성은 크게 줄었다.

21일 여성가족부가 전국 25~54세 여성 4,8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직장을 그만둔 여성이 다시 일자리를 찾기까지는 8.4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전 조사의 8.6년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여성들이 일자리를 구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경력 단절 후 첫 일자리의 임금은 월평균 146만3,000원으로 이전 직장의 퇴직 당시 임금인 173만1,000원보다 26만8,000원 적었다. 경력단절여성의 월평균 임금은 165만6,000원으로 경력 단절 없는 여성의 241만8,000원보다 76만3,000원 적었다.

관련기사



여성들이 일을 그만둔 이유로는 결혼이 40.4%로 3년 전(61.8%)보다 크게 줄어든 반면 임신·출산이 26.5%에서 38.3%로, 가족구성원 돌봄이 4.2%에서 12.9%로 급증했다. 경력 단절이 처음 발생하는 나이는 평균 27.1세에서 28.5세로 높아졌다. 여성의 재취업을 가로막는 요인으로도 양육과 보육(51.1%)이 첫손에 꼽혔고 가족의 이해와 가사노동 분담 부족(20%)이 뒤를 이었다. 결혼 이후에도 경제활동을 지속하려는 여성이 늘고 있지만 출산과 육아 부담을 못 이겨 울며 겨자 먹기로 일을 그만둘 수밖에 없는 세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재취업 여성은 타의 반 자의 반으로 전일제보다는 시간제 일자리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 상용근로자 비율은 경력 단절 이전 81.7%에서 단절 이후 45.4%로 줄었고 시간제 비율은 단절 이전 6.1%에서 이후 28.9%로 크게 상승했다. 실제 비취업 여성이 선호하는 근로형태는 시간제가 61.4%로 전일제를 웃돌았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