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백브리핑] 모바일 금융 '실버세대' 잡아라

뒤에서 화면 보는 노년층 위해

모바일 뱅킹 앱 글자 확대 추가

은행들이 너도나도 간편송금 확대 등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 같지만 여전히 구매력이 크고 은행창구를 애용하는 실버 세대인 중장년층을 겨냥한 눈높이 서비스 출시에도 치열한 경쟁을 펴고 있다. 20~40대층도 주요한 고객이지만 중장년층도 은행 입장에서는 큰손이고 이들을 모바일 금융에 익숙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차원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에 있는 글자확대 기능이다. 신협의 경우 신협S뱅킹의 첫 화면에 큰 글씨로 이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을 실어뒀다. 버튼을 누르면 글자 크기가 1.8배 커져 한 손에 스마트폰을, 다른 한 손에 안경을 잡고 멀찍이 뒤에서 화면을 봐야 하는 노년층도 보다 쉽게 사용하도록 했다. 신한 역시 경제 여력이 있는 노년층이 외화를 가족들에게 선물하는 경우가 많다고 판단하고 써니뱅크 앱 내 환전선물 코너에서 글자를 크게 볼 수 있도록 했다. 아예 노년층을 위한 맞춤형 모바일 서비스도 제법 활발하게 나오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올 초 금융 서비스와 여행·쇼핑·건강 등의 비금융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하는 시니어 전용 모바일 플랫폼 ‘KB골든라이프 뱅킹’을 선보였다. 신한은행도 ‘미래설계 포유(for you)’를 내놓고 50대 이상 시니어 고객 잡기에 나서고 있다. 여행·건강·반려동물·일자리 등 콘텐츠는 물론 글자 크기나 화면 등 유저 인터페이스(UI)도 시니어 친화적이라는 것이 은행 측의 설명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실버 세대에 대비한 서비스 구성은 모바일 서비스 기획의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라며 “기존 고객의 노령화와 노인 세대의 모바일 진입 유도까지 모두 중요한 화두”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