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3040' 일자리 충격...도소매·교육·제조업서 전방위 감소

7월 조사 결과 38만여명 줄어

한국경제의 허리 격인 30∼40대 취업자가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사업지원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전방위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7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30∼40대 취업자는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운수·창고업, 사업지원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모두 38만6,514명 감소했다.


부동산업 40대 취업자 감소폭(-2만9,573명), 숙박음식점업 30대 취업자 감소폭(-1만166명)을 더하면 사라진 일자리는 40만개를 넘어선다는 게 현대연의 설명이다. 가장 감소폭이 큰 업종은 편의점이나 옷가게 등 자영업자가 포진한 도소매업이었다.

도소매업에서 30대 취업자는 6만2,51명, 40대 취업자는 7만5,156명 등 모두 13만7,207명 감소했다.


학령인구 급감에 따른 학원 폐업 등으로 교육서비스업 취업자는 30대가 4만802명, 40대는 3만4,239명 등 모두 7만5,041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관련기사



조선업과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이 장기화하면서 제조업 취업자수는 30대가 3만4,539명, 40대는 3만619명 등 6만5,158명이 줄어들었다.

반면에, 정부의 일자리 예산 지원이 집중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30대가 2만2,360명, 40대는 2만2,421명 등 모두 4만4,781명 늘었다. 역시 공공일자리인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취업자는 30대는 2만8,843명 늘었지만 40대는 1만9,712명 감소했다.

30∼40대 취업자수는 정보통신업에서 4만4,643명, 금융및 보험업에서 4만3,279명, 기타 개인서비스업에서 2만4,346명 각각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30∼40대 취업자수는 30대가 9만693명, 40대가 14만6천911명 각각 줄어 모두 23만7,604명 감소했다. /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