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與 '퍼주기' 경쟁에... 내년 600兆 '슈퍼 예산' 나올 듯

기재부 2022년 예산요구현황

요구 예산만 전년 대비 6.3% 늘어

추가 요구 더하면 600조 넘길 듯

지난해 전국민에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을 받기 위해 시민들이 서울의 한 창구에 줄을 서 있다. /서울경제DB지난해 전국민에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을 받기 위해 시민들이 서울의 한 창구에 줄을 서 있다. /서울경제DB




문재인 대통령이 적극 확장 재정을 지시한 가운데 정부 부처들이 기획재정부에 올해 본예산 대비 6.3% 늘어난 예산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철도 등 SOC(사회간접자본)와 지방행정 관련 예산 요구액은 거의 늘어나지 않은 반면 탄소중립 등 환경 관련 예산은 20% 가까운 예산 증액을 요구했다.

22일 기재부가 발표한 ‘2022년도 예산 요구 현황’에 따르면 정부 중앙 부처들이 요구한 2022년 예산은 593조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본예산보다 6.3% 늘어난 금액이다.



다만 청와대가 적극적 재정 확장을 지시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편성되는 본예산이 600조 원을 넘기는 ‘슈퍼 예산’으로 마련될 가능성도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전국민위로금 등 30조원에 이르는 지원금 ‘3종 세트’ 지급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당 일부 의원들은 ‘청년기본자산법(18세가 되면 6,000만원 기본 지급)’ 등 퍼주기 정책을 앞다퉈 발의하고 있는 상태다.

관련기사



항목 별로 보면 일반회계 예산이 400조3,000억 원으로 정부 출범 이후 최초로 400조원을 넘겼고 기금운용계획 요구 규모는 192조9,000억 원이었다.

분야 별로는 온실가스 감축, 전기·수소차 인프라 등 그린뉴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환경 분야의 예산 증액 요구폭이 17.1%에 달해 가장 컸다.

매년 지출 예산의 35% 가량을 차지하는 보건·복지·고용 분야의 올해 총 요구 예산은 219조 원으로 전년 대비 9.6% 늘었고 교육 분야 요구 예산(77조8,000억원)도 같은 기간 9.2% 증가했다.

반면 SOC 관련 예산은 지난해보다 0.1% 늘어난 26조5,000억원으로 사실상 동결됐고 농림·수산·식품 관련 요구 예산(22조9,000억원)도 지난해(22조7,000억원)와 거의 유사한 수준에서 책정됐다.

박창환 기재부 예산총괄과장은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 한국판 뉴딜 등 핵심과제에 재투자하는 한편 요구안 접수 이후라도 정책 여건 변화에 따른 추가 요구를 반영해 예산안을 편성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서일범 기자 squiz@sedaily.com


세종=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