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용산구, 5년간 23억 들여 빈집정비 나선다

빈집정비계획 고시…관내 134가구 대상

정비계획 대상 현황도.정비계획 대상 현황도.




서울 용산구가 2026년까지 23억원을 투입해 빈집정비사업에 나선다.



구는 지난달 29일 ‘용산구 빈집정비계획’을 결정 고시했다고 3일 밝혔다. 주거지역에 방치된 빈집을 효율적으로 정비해 안전사고, 범죄 등 사회적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사업은 내년부터 2026년까지 총 5년간 관내 134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총 사업비는 약 23억원이다.

관련기사



구는 2019년 한국부동산원의 빈집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 내 빈집 351가구를 찾았고 이중 134가구를 대상으로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나머지 217가구는 정비구역 내 위치, SH 매입, 비주택, 자진정비 등 사유에 따라 정비대상에서 제외됐다.

빈집은 등급별로 나눠 정비계획을 세웠는데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1·2등급의 경우 리모델링을 통해 임대주택, 작은 도서관 등 소규모 생활SOC 시설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3·4등급은 철거를 목적으로 안전조치·관리계획을 세우거나 빈집 철거 후 주변현황 및 주민수요를 반영해 마을주차장, 쉼터, 텃밭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구는 △서울시 빈집수리비 지원 대상 46가구 △안전조치 및 관리계획 대상 18가구 △이력관리 대상 32가구 △철거대상 38가구를 지정했다. 빈집수리 대상(46가구)은 가구당 최도 1,700만원을 지원한다. 안전조치·관리계획 대상 빈집은 공가스티커를 부착하고 관할 경찰서, 소방서 등에서 집중 관리한다. 철거 대상 빈집은 소유자가 자진 철거하도록 유도하되, 불응 시 직권철거에 나설 방침이다. 빈집 철거명령 불응시에는 이행강제금이 부과된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용산구에는 일제강점기 적산가옥을 비롯해 지어진지 오래된 집이 많다”며 “소유주와 지역이 상생할 수 있도록 빈집 활용 방안을 창의적으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