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추가 대북 제재와 관련해 정부가 “북한은 추가적인 상황 악화 조치를 취하지 않고 대화로 복귀하라”고 촉구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달성을 위한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으며 완전한 비핵화 달성 시까지 기존 대북 제재를 지속 이행해나간다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해왔다”며 대북 제재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북한도 이에 호응해 추가적인 상황 악화 조치를 취하지 않고 대화로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대북 제재와 관련한 우리 정부의 입장 변화에 대해서는 “정부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한미 간 긴밀한 공조하에 종전 선언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대북 관여 방안 모색 등 외교적 노력을 앞으로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도 이날 같은 입장을 내놓았다. 통일부 관계자는 “한반도 정세의 평화적·안정적 관리가 중요하다고 본다”며 “미국 등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남북 간 대화 계기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과 관련해 대북 제재에 돌입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관여한 북한 국적 6명과 러시아인 1명, 러시아 단체 1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다고 12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