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임성기연구자상 대상에 김빛내리 서울대 석좌교수

45세 미만 '젊은연구자상'

배상수·이주명 교수 수상

김빛내리(왼쪽부터) 서울대 의과대학 석좌교수, 배상수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이주명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수. 사진 제공=한미약품김빛내리(왼쪽부터) 서울대 의과대학 석좌교수, 배상수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이주명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수. 사진 제공=한미약품




한미약품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신약 개발에 대한 집념과 유지, 철학을 받들기 위해 제정된 임성기연구자상 ‘대상’ 수상자로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가 선정됐다. 만 45세 미만 연구자 대상의 ‘젊은연구자상’은 배상수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와 이주명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수가 수상한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3억 원, 젊은연구자상 수상자 2명에게는 상패와 상금 각 5000만 원이 전달된다.



임성기재단은 10일 이사회를 열고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신약 개발의 유익한 응용이 가능한 업적을 남긴 한국인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임성기연구자상 제3회 수상자 3명을 이같이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관련기사



임성기연구자상은 국내 최고 권위의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부문 상이다. 임 회장 가족이 신약 개발에 대한 유지를 계승하기 위해 설립한 임성기재단이 제정했다. 재단은 의학·약학·생명과학 분야 석학들로 이뤄진 별도의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엄격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들을 선정했다.

김 교수는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RNA연구단을 이끌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의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수상하게 된 연구 내용은 ‘미개척 지식의 보고’로 불리는 다양한 바이러스 유래 RNA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뒤 RNA 안정화 상태에서 유전체 정보의 최종 산물인 단백질 생산을 늘릴 수 있는 RNA 서열을 발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심사위는 “김 교수는 마이크로 RNA의 생성에 관한 이론과 이를 통한 유전자와 세포 조절 기능을 이해하는 데 큰 업적을 쌓아온 세계적 석학”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향후 RNA 기반 신규 항바이러스제, 항암제 개발로 연계함으로써 신약 개발에 혁신적인 가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