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6년 만의 IPO 대어 '도쿄메트로' 상장 첫날 47% 뛰어

[지금 일본에선]

2018년 소프트뱅크 이후 최대 규모

공모가 1200엔, 장중 1768엔까지

도쿄메트로CI/도쿄메트로홈페이지도쿄메트로CI/도쿄메트로홈페이지




올해 일본 주식공개(IPO) 시장의 대어(大漁)인 도쿄메트로가 상장 첫날인 23일 공모가격(1200엔)보다 47% 넘게 뛰며 성공적으로 증시에 데뷔했다. 이번 상장은 2018년 소프트뱅크 상장 이후 일본 내 IPO 중 최대 규모인 데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도쿄메트로는 거래 첫날 개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리며 장중 1768엔까지 치솟았다. 이는 공모가 대비 47.3% 높은 가격이다.



앞서 도쿄메트로의 청약 경쟁률은 15대 1을 기록했다. 주관사인 노무라증권 관계자는 "최근 10년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시장에서는 일본 기준으로 높은 배당수익률과 견조한 실적이 도쿄메트로 주식의 인기를 끌어올렸다고 분석했다. 도쿄메트로는 2023 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기준 영업이익률이 20%로 교세이, 오다큐 등 다른 사철 기업보다 높은 편이다. 이토 타쿠 닛세이자산운용 펀드매니저는 "적정 가치가 1600엔 정도인데 공모가가 너무 낮았다"며 "이 종목은 전형적인 배당주인 데다 방어주이기도 해 장기 보유할 수 있는 주식"이라고 평가했다.

철도 사업의 공공성으로 요금을 급격히 인상할 수 없고, 인구 감소로 수익을 추구하기는 어려워 성장이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다만, 주가가 1200엔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 배당금과 주주혜택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게 매력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번 상장이 올 1월 시작된 새로운 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 이후 첫 대형 상장으로 초보 투자자를 포함한 폭넓은 층의 투자를 이끌어냈다고도 평가했다.

도쿄메트로는 9개 노선과 180개 역을 운영하고 있으며 하루 승객 650만명 이상을 수송한다. 이는 미국 뉴욕시 지하철 이용객의 두 배에 달하는 규모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설명했다.

이번 상장은 일본 정부와 도쿄도가 보유한 이 회사 주식 지분 절반씩을 2027년까지 팔아 매각 수입을 동일본대지진 부흥 채권 상환 비용에 쓰도록 규정한 부흥재원확보법에 따른 것이다. 상장 전 일본 정부와 도쿄도는 이 회사 주식을 각각 53.4%, 46.6% 쥐고 있었다. 일본 정부와 도쿄도는 절반의 지분 매각 후 남은 주식을 당분간은 보유할 생각이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