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2금융

당국 “상반기 중 부실 PF 정리” 엄포에… 저축은행업계 '난색'

시장 수요 부족에 유암코도 외면

중앙회, NPL 자회사 등 자구책 마련

연합뉴스연합뉴스




금융 당국이 저축은행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자산을 상반기 내 정리하라는 지침을 내렸지만 업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부실 사업장을 소화할 수 있는 시장의 수요가 부족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최근 당국은 저축은행권에 부실 PF 자산 정리를 서두르라는 지침을 내리면서 제때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현장 점검 및 제재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메시지를 함께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축은행 업계의 부실 PF 규모는 지난해 말 현재 약 3조 6000억 원에 달한다. 유의 등급은 약 7000억 원, 경·공매 대상인 부실 우려 등급은 약 2조 9000억 원에 수준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업계에서는 “살 사람이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PF 부실 매물은 쏟아지고 있지만 이를 받아줄 매수자는 부족하다. 연합자산관리(유암코)도 시중은행에서 쏟아지는 부실 PF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유암코 관계자는 “시중은행의 부실 자산을 인수하는 것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2금융권 물건은 우선순위에서 밀린다”고 말했다. 업계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 없이 시장의 자생적 회복에만 기대는 지금의 기조로는 부실 정리가 더 늦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한다.

이에 저축은행중앙회는 자구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앙회는 100억 원 규모의 부실채권(NPL)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중앙회 고위 관계자는 “1000억 원 규모의 자회사 설립을 계획했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무리인 것으로 판단했다”면서 “100억 원 규모로 설립하면 대부업법상 1000억 원에 달하는 부실채권을 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상화 펀드도 병행한다. 중앙회는 앞서 4차 PF 정리펀드 운용사로 KB자산운용을 선정하고 회원사들로부터 매각 희망 PF 사업장에 대한 목록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저축은행의 자본 건전성과 충당금 수준을 감안할 때, 일정 기간 유예를 통해 자율적 정리가 가능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과 충당금 적립률이 법정 기준을 크게 웃도는 만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 지난해 말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02%로 같은 기간 0.67%포인트 개선됐다. 저축은행의 BIS 규제비율은 자산 1조 원 이상 8%, 1조 원 미만은 7%로 법정 규제비율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유동성비율은 181.92%로 법정기준인 100%를 크게 상회했고 대손충당금적립률도 법정기준보다 13.23%포인트 높은 113.23%로 집계됐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현재 부실을 감당할 수 있는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다”면서 “부동산 시장이 회복된 후 매각하면 손실을 줄일 수 있는데 지금 매각을 강요하는 것은 회사 입장에서 배임 소지도 있다”고 우려했다.


박지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