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SKT 유심 사태에…연기금도 749억 손절했다

주가 출렁이자 연기금 순매도 확대

"대응 논란 장기화 땐 지분조정 가능"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SK텔레콤은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습니다'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다. 연합뉴스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SK텔레콤은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습니다'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다. 연합뉴스





SK텔레콤(017670) 유심 해킹 사태로 연기금이 대규모 매도에 나섰다. 일단은 주가 하락에 따른 수급 조정 성격이지만 사태가 장기화돼 사회적 책임 문제가 불거질 경우 국민연금이 지분 축소 수위를 높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관련기사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기금은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이 세간에 알려진 22일부터 이날까지 749억 원(137만 5896주)어치를 팔아 치우며 순매도 1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연기금은 25일까지만 해도 하루 20억 원 내외의 순매도에 그쳤지만 여론 반발이 거세 주가가 6.75% 급락한 28일 순매도 규모를 빠르게 확대했다. 연기금은 28일과 29일 각각 354억 원, 209억 원어치를 팔아 치웠다. 이어 이날 주가가 1.69% 올랐음에도 67억 원 순매도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SK텔레콤의 사회적 책임 문제가 장기화할 경우 국민연금이 지분을 추가로 축소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에 그치지 않고 사고 발생 이후 대응의 미흡함이 논란을 키우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리스크로 해석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은 현재 SK텔레콤 지분을 8% 이상 보유한 주요 주주다. SK텔레콤은 사고 발생 이후 24시간 내 신고 의무를 위반해 늑장 대응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2019년 책임 투자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며 ESG 요소를 반영한 투자 기준을 도입한 바 있다. SK텔레콤이 사고 후속 대응 과정에서 ESG 원칙을 위배해 중대한 사회적 리스크로 이어질 경우 경영 개선 권고, 지분 축소 등의 조치를 검토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 실패나 소비자 신뢰 훼손은 중대한 리스크로 간주될 수 있다”며 “이 경우 국민연금은 직접적인 경영 개선 권고뿐만 아니라 위탁 자산운용사 평가 시 SK텔레콤 비중이 높은 펀드에 ESG 리스크 점수를 반영하는 식으로 간접적인 움직임도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