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양적완화(QE) 가능성을 깜짝 언급하면서 국고채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해 연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30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0.043%포인트 내린 연 2.267%로 마감했다. 3년물 금리가 2.2%대로 내려온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2.563%로 전 거래일보다 0.04%포인트 내렸다.
국고채 금리가 하락한 건 큰 틀에서는 미국 국채 금리 하락 영향이다. 하지만 이 총재가 이날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0)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와 같은 대차대조표 확대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는 깜짝 발언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이날 이 총재는 한국금융학회와 함께 연 정책 심포지엄에서 서면 환영사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미국과 같은 양적완화 도입 검토도 열어뒀다. 실현 가능성이 적지만 잠재성장률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에 더 이상 기준금리로는 통화정책을 운용하기 어려운 상황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번 총재의 QE 발언을 두고 메시지 관리에 실패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축통화 국가도 아니고 국채시장 규모가 크지도 않은 한국에서 양적완화 정책을 쓴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으로 통했기 때문이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그간 총재의 스탠스는 저성장은 구조개혁을 통해서 타파해야지, 재정과 통화정책에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었다"면서 “QE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이와 반대되기 때문에 원론적인 발언으로만 받아들일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이남강 한국금융투자지주 이코노미스트는 “잠재성장률이 크게 떨어지고 정책금리 하단에 가게 되면 한은이 쓸 수 있는 카드가 없기 때문에 지금부터 고민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양적완화의 경우 금리 하락과 환율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물가를 자극할 우려가 크다는 걸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위안화 강세에 연동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전일보다 16.3원 내린 1421.0원을 나타나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