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방사청, 2031년까지 7개 군 공항 계기착륙장치 교체·신규 설치

사진 제공=방위사업청사진 제공=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은 지난 4월 30일 공군 충주비행장 설계검토회의를 시작으로 계기착륙장치 교체 및 신규 설치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12일 밝혔다.

계기착륙장치는 악천후나 야간 등 시야가 흐린 상황에서도 항공기의 안정적인 착륙을 지원하기 위한 항행안전무선시설이다. 이 장치는 활주로에 진입하는 항공기에 방위각, 활공각, 거리 등 정밀 착륙 정보를 제공해 관제사의 도움 없이도 조종사 스스로 착륙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방사청은 총예산 440억 원을 들여 2031년까지 순차적으로 군 공항의 설치 기한이 도래한 계기착륙장치를 교체할 예정이다. 아직 설치되지 않은 활주로에는 계기착륙장치를 신규 설치한다.

관련기사



방사청은 이번 설계검토회의를 통해 군 공항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을 추가로 검토해 적용하기로 했다.

우선 방위각 장비의 기초대 높이는 기준높이 7.5㎝를 고려해 설치하고, 현재 설치된 방위각 장비 중에서 개선이 시급한 경우 착수 시기를 조정해 우선 교체하도록 했다.

또 활주로 인근에 위치한 활공각 장비용 타워 재질은 현재의 철탑 등 금속 재질에서 부러지기 쉬운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개선하기로 했다.

정규헌 미래전력사업본부장은 “이번 계기착륙장치 교체와 신규 확보 설치를 통해 군의 안정적 항공작전 수행 여건과 비행안전을 보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