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해양경찰청, 전기구동 ‘로봇 유회수기’ 도입

K-방제 장비로 해양 오염 대응 강화

국내 기술 개발 주요 전시회서 인정

해양경찰청의 로봇유화수기사고 현장 수습 모습. 사진제공=해양경찰청해양경찰청의 로봇유화수기사고 현장 수습 모습. 사진제공=해양경찰청




해양경찰청이 올해부터 전기 구동형 ‘로봇 유회수기’ 해양오염 방제장비 도입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고 15일 밝혔다.

로봇형 유회수기는 기존 유압 구동 방식의 고중량, 매연발생, 작업 반경 제한 등 구조적 한계를 혁신적으로 보완한 친환경 장비로, 전기 기반의 동력 방식을 채택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했다.



또한 경량화 설계로 기동성과 현장 활용성이 대폭 향상됐으며, 특히 협소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해역에서도 유연한 작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해양오염 사고 발생 시 초동 대응의 신속성과 효율성도 크게 높일 수 있다.

관련기사



해양경찰청은 지난 3월 통영해경서에 로봇형 유회수기를 최초 배치한 데 이어 다양한 유형의 장비를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로봇형 유회수기 투입으로 해양오염 사고 대응 시 환경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방제장비의 친환경 전환과 기술 적용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로봇형 유회수기는 해양오염 방제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아, 해외 주요 전시회에서의 기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현재 동남아 등 해외 항만 운영기관에 수출되는 성과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은 친환경·자동화 기반 방제장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국제 해양안전 협력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성에 대한 주목을 받고 있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은 “앞으로도 친환경 기술 기반의 방제장비 개발과 보급을 지속 확대해, 해양환경 보호와 국민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안재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