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덴마크 의회가 원전을 짓지 못하게 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을 때 세계 과학계에서는 뜻밖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원자물리학의 교황’이라 불리는 닐스 보어를 낳은 덴마크는 당시 원전 강국이었기 때문이다. 덴마크는 ‘탈(脫)원전’을 선언하고 지금까지 고수해왔다. 그 결과 현재 80% 이상을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 의존하면서 불안정한 전력 공급 구조가 굳어졌다. 하지만 덴마크의 탈원전 정책은 만성적인 전력 공급 부족을 초래했고 이로 인해 회의론이 끊이지 않았다.
탈원전 정책을 40년 동안 이어온 덴마크가 마침내 ‘탈(脫)탈원전’으로 선회했다. 라르스 오고르 덴마크 에너지·기후 장관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소형모듈형원전(SMR) 등 차세대 원자력 기술이 갖는 잠재적인 이점을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SMR과 같은 새로운 원자력 기술의 발전이 진행되고 있다”며 “이 기술을 도입했을 때 그것이 덴마크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도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덴마크가 탈원전 정책을 버릴 수 있다는 선언으로 읽힌다.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도 올해 3월 전력 수요 확충을 위해 원자력 기술을 사용하는 법안을 승인하며 탈탈원전으로 돌아섰다. 재생에너지를 강조하던 스페인은 지난달 대규모 정전 사태를 겪은 뒤 향후 10년간 원자력발전소 7곳을 폐쇄하려던 탈원전 정책에서 벗어나려 하고 있다. 영국·프랑스·벨기에도 기존 원전의 가동 시한을 연장하는 등 탈원전 계획을 철회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당시 탈원전을 표방했던 우리는 덴마크·이탈리아 등보다 더 강하게 탈탈원전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발맞춰야 할 뿐 아니라 한국이 높은 SMR 기술력을 갖춘 원전 강국이기 때문이다. AI 붐에 따른 원전 수요 증가를 내다본 블룸버그통신도 “원전 수출에서 한국이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K원전 르네상스’를 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